불일헌일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명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명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1책. 목활자본. 철종 때 후손들에 의하여 간행되었는데, 장석룡(張錫龍)의 서문과 장승택(張升澤)의 발문이 있다.

부록에 실린 그의 행록은 후손 심호(心浩)가 쓴 것이며, 묘갈명은 판서 조성교(趙性敎)가 지은 것이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시 11수, 제문 4편, 부록에 만사 7수, 행록·묘갈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스승 정구(鄭逑)가 봉산(蓬山)으로 떠나려고 할 때 여러 친우들과 화답한 것인데, 자연 묘사가 매우 사실적이며 인생을 관조한 기품이 거듭 음미할만하다.

만사와 제문은 정구와 종형 명룡(命龍) 및 친우들의 죽음을 애도한 것으로 스승에 대한 존경과 형제간의 우애, 친우들에 대한 우정이 절실하게 표현되어 있다.

참고문헌

『불일헌일고(拂日軒逸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