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사명대사 생가지 ( )

주생활
유적
문화재
조선 중기, 고승 사명대사가 태어난 곳에 복원된 주택.
이칭
이칭
사명당 생가지
유적/터
원건물 건립 시기
16세기
면적
1,121㎡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기념물(1992년 10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내용 요약

밀양 사명대사 생가지는 조선 중기의 고승 사명대사가 태어난 곳에 복원된 주택이다. 생가터로 구전되는 곳을 발굴하여 건축 유구를 발견하였으므로, 대구 수령을 지낸 증조부와 교생인 부친의 주거에 기반하고 대사의 직위인 가선동지중추부사(架善同知中樞府事)의 격에 맞도록 반가의 격식을 갖추어 생가를 복원하였다. 생가는 솟을대문, 사랑채, 안채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 옆으로 재실인 숙청사(肅淸祠)가 건립되어 있다. 1992년에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정의
조선 중기, 고승 사명대사가 태어난 곳에 복원된 주택.
유래

밀양 사명대사 생가지(密陽 四溟大師 生家址)는 1992년에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기의 고승인 사명대사(四溟大師, 1544~1610)는 1544년(중종 39)에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에서 교생(校生) 임수성(任守成)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증조부 임효곤(任孝昆)은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장악원(掌樂院) 정(正)이 된 후 대구 수령으로 있다가 그후 밀양에서 살았다. 이곳에서 유학 임종원을 낳고, 임종원은 교생 임수성을 낳았다. 본관은 풍천 임씨(豊川任氏)이다. 속명은 유정(惟政) 또는 응규(應奎), 자는 이환(離幻), 호는 사명당(四溟堂) 또는 송운(松雲), 별호는 종봉(鍾峯)이다. 13세 때 유촌(柳村) 황여헌(黃汝獻)에게서 글을 배우다 그만두고, 직지사(直指寺)로 가서 신묵화상(信默和尙)에게서 머리를 깎고 선문(禪門)에 들어갔다. 금강산에 들어가 수도하던 중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승병(義僧兵)을 모아 의병장으로서 활약하였다. 1593년(선조 26) 명나라 구원군이 주축이 되었던 평양성 탈환 전투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다. 선조(宣祖)는 그의 공을 크게 인정하여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의 벼슬을 내렸으며, 일본과 강화(講和)를 위한 사신으로 임명되어 포로가 되어 끌려갔던 조선인 3,500명을 데리고 이듬해 돌아와 가의(嘉義)의 직위와 어마(御馬) 등을 하사받았다. 이후 병을 얻어 해인사(海印寺)에서 요양하다가 1610년(광해군 2)에 설법을 마치고 세상을 떴다. 저서로 『사명당대사집(泗溟堂大師集)』 7권과 『분충서난록(奮忠紓難錄)』 1권 등이 있다.

발굴 경위 및 결과

사명대사의 생가터는 정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399번지 일대나 422번지 일대의 두 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두 곳 가운데 현재 학계에서는 399번지 일대가 더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그 근거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로 볼 때 399번지를 축으로 하여 뒷산의 주맥(主脈)이 흘러 내려오고 있으므로, 밀양에 터를 잡은 사명당의 증조부인 임효곤이 이곳에 터를 잡았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자연마을의 생성 측면에서 볼 때 입향조(入鄕祖)인 임효곤의 관직으로 보아 반가(班家)의 터전을 형성할 지역으로 422번지 일대는 너무 좁다. 셋째, 문헌 기록으로 볼 때 사명당의 어릴 때 생활을 기록한 것에 의하면 집 가까이에 연못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로 보아 399번지 일대가 가능성이 더 높다. 넷째, 현장의 지표 조사에서 볼 때 399번지 일대에서 기와 파편, 생활용품 파편 등이 발견되었으며, 건축물의 주2로 보이는 담장 흔적들도 발견되었다.

형태와 특징

생가터는 밀양과 창녕의 경계를 이루는 영취산(738.8m)의 동남쪽 자락에 정남향으로 위치한다. 3동으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은 삼(三)자형이며, 대문채는 동쪽으로 조금 치우쳐 있으며, 사랑채와 안채는 전후에 나란히 배치하였다. 솟을대문에는 온돌방과 고방(庫房) 및 외측을 두었다. 사랑채는 전면 5칸, 측면 1.5칸의 툇집으로 구성하고 2칸 사랑방을 중심으로 동쪽 편으로 전후 2칸의 누마루를 만들고 사랑방 서쪽으로는 중문간과 고방을 두었다. 방의 전면에는 퇴를 마련하고 전면 창호 아래에는 머름을 두었다. 누마루의 앞과 옆에는 계자각(鷄子閣) 난간(欄干)을 돌렸다. 안채는 전면 5칸, 측면 1.5칸으로 서측에 1칸의 부엌, 2칸의 온돌방, 1칸 마루, 1칸 건넌방을 차례로 배치하였고, 방의 전면에는 툇마루를 두고, 방의 후면으로는 모두 벽장을 두었다.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남부지방 상류주택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사명대사 생가지는 사명대사가 태어나 어린시절을 보낸 고향으로, 가끔 부모의 주1을 찾은 곳이다. 생가는 그러한 행적을 기억할 수 있도록 대사의 격에 맞도록 복원한 조선 중기 반가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주석
주1

조상의 무덤. 또는 그 근처의 땅. 우리말샘

주2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