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백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사천백남선생유고
사천백남선생유고
유교
문헌
고려 후기의 문신, 남을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신, 남을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목판본. 1933년 후손 황(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의 서문과 저자의 석각화상(石刻畫像)·석각시(石刻詩) 등이 있으며, 권말에 황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20여 수, 기(記)·잡저 각 4편, 변(辨)·유사·묘갈명 각 1편, 계(啓) 2편, 통문(通文) 4편, 제문 2편, 소(疏) 3편, 축문 2편, 서(序) 1편, 부록으로 실기(實記)·이문(移文)·상량문·제문·기·잡저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견증봉화정건천(見贈奉和程巾川)」과 부분적으로 탈락이 있는 「고결시(告訣詩)」 외에 안성(安省)·정몽주(鄭夢周)·김주(金澍) 등과 함께 만월대에서 한 구씩 차운(次韻)한 것들이 있다.

「석각시」는 조선 개국을 소재로 한 것인데, 이에 대한 후인들의 차운 10여 수도 곁들여 실려 있다. 그 밖의 문장들은 그의 행적이나 사실(史實) 등을 소개한 것이 대부분이다.

부록에는 두문동(杜門洞) 72인의 인적사항과 언행 등을 기술하고, 영조의 명으로 지은 치제문 등을 부기한 「규장각충렬록두문제선생실기(奎章閣忠烈錄杜門諸先生實記)」와 「두문동기(杜門洞記)」 등을 비롯하여 이색(李穡)·길재(吉再)·신덕린(申德鄰)·노철정(魯哲正)·민안부(閔安富)·김충한(金冲漢)·원천석(元天錫)·안성 등이 고려가 망하고 조선왕조가 들어설 무렵에 보여준 의로운 행실을 기술한 「산록(散錄)」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