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풀이장단 (살풀이)

목차
관련 정보
국악
개념
충청도 · 전라도 지역 굿에 쓰이는 3소박 4박 구조의 장단.
이칭
이칭
살푸리장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살풀이장단은 충청·전라 지역 굿에 쓰이는 3소박 4박 구조의 장단이다. 신의 내림을 청하는 무가와 춤 반주에 사용되며, 3소박 4박과 2소박 6박을 섞어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악합주로 된 시나위와 살풀이춤 등의 반주에도 사용된다.

목차
정의
충청도 · 전라도 지역 굿에 쓰이는 3소박 4박 구조의 장단.
내용

살풀이장단은 충청도와 전라도 굿에서 주요 무가(巫歌)와 춤 반주에 사용된다.

살풀이는 ‘살을 풀어낸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지만 주로 신의 내림을 청하는 통절 주1의 무가에 쓰인다. 이 지역의 굿에서 살을 푸는 무가에 쓰이는 예는 없다. 전라남도 지역의 경우, 흘림이라고도 불리는 동살풀이장단이 더 주요하게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살풀이장단은 3소박 4박 구조의 장단이다. 경기도 남부 지역 굿의 2소박 6박 장단인 도살풀이장단과 전라남도 지역의 2소박 4박 장단인 동살풀이장단과 더불어 살풀이 계열의 장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장단은 장단 이름에서 보이듯 어느 정도 음악적인 특성을 공유한다. 따라서 경기도 남부에서 전라남도에 이르는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을 일컬어 살풀이권이라 부르기도 한다.

현재 충청도 · 전라북도 지역 세습무(世襲巫)의 전승이 대부분 끊어지면서 이 지역의 살풀이 무가는 음향 자료로만 확인할 수 있다.

무녀는 3소박 4박 구조의 살풀이장단 위에 2소박을 자주 사용하고, 3소박 4박과 2소박 6박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무가를 부른다. 또한 첫 박을 비우고 그다음 박부터 무가를 부르는 엇붙임과 주2을 이어 붙이고 뒤를 뻗는 가사를 붙이는 등 다양한 붙임새를 빈번히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장단과 가사의 단위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으며, 지역에 따라 2소박 6박 사용의 빈도 차가 나타나기도 한다.

충청도 무녀로 추정되는 신수덕의 무가를 살펴보면, 3소박 4박과 2소박 6박의 사용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며, 충청남도 부여군의 은산별신제(恩山別神祭)이어린년(李於仁連)은 2소박 6박을 주로 사용한다. 전라북도 부안군과 위도 등지는 3소박 4박 중심의 무가가 많으며, 전라남도 지역으로 갈수록 2소박 6박과 3소박 4박이 섞여 충청도 지역과 비슷한 형태의 가사 붙임이 된다. 전라남도 진도군의 경우, 2소박 6박의 리듬형이 주를 이룬다.

기악 주3로 된 시나위 연주와 예술 춤으로 발전한 살풀이춤 등의 반주에도 살풀이장단이 쓰이며, 3소박 4박 구조의 장단에 2소박과 3소박을 섞어가며 연주한다.

참고문헌

논문

김혜정, 「씻김굿의 거리별 장단사용의 보편성과 지역별 특수성」 (『공연문화연구』 16, 공연문화학회, 2008)
김혜정, 「무악 장단의 음악적 구조와 활용 원리」 (『한국무속학』 20, 한국무속학회, 2010)
김혜정, 「은산별신제의 음악적 특징과 변화」 (『부여학』 4, (사)한국고도육성포럼 부여지회, 2014)
이보형, 「무악장단고」 (『한국문화인류학』 3, 한국문화인류학회, 1970)
이보형, 「살푸리와 도살푸리와 동살푸리의 비교」 (『민족음악학』 2,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78)
이보형, 「살푸리 리듬형의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신수덕 무가 음반을 중심으로」 (『한국음반학』 7, 한국고음반연구회, 1997)
한만영, 이보형, 「恩山別神祭의 音樂的 硏究」 (『민족음악학』 1,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77)
주석
주1

몇 절로 된 가사이든 가사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른 가락으로 노래하도록 만든 작곡 형식. 우리말샘

주2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3

많은 기악 연주가가 함께 하는 연주나 대규모의 기악 연주 형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관현악 합주, 현악 합주, 취주악 합주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