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산명당기 ()

고려시대사
문헌
고려시대, 남경(현, 서울 지방)을 명당으로 풀이한 지리도참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고려시대
간행 시기
고려시대
저자
미상
내용 요약

『삼각산명당기』는 고려시대에 남경(현, 서울 지방)을 명당으로 풀이한 지리도참서이다. 이 책의 저자가 누구인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삼각산명당기』는 고려시대 지리도참사상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기록의 하나로, 전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고 그 일부만이 『고려사(高麗史)』에 실려 전하고 있으며, 이궁(離宮) 설치나 천도설(遷都說)이 제기될 때마다 주목되었다.

정의
고려시대, 남경(현, 서울 지방)을 명당으로 풀이한 지리도참서.
저자 및 편자

『삼각산명당기(三角山明堂記)』의 저자가 누구인지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삼각산명당기』는 고려시대 지리도참사상(地理圖讖思想)을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기록의 하나로, 전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고 그 일부만이 『고려사(高麗史)』에 실려 전하고 있으며, 이궁(離宮) 설치나 천도설(遷都說)이 제기될 때마다 주목되었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의 전체적인 구성과 체제는 알 수 없다. 다만 1095년(숙종 원년)에 당시에 음양관(陰陽官)이었던 위위승동정(衛尉丞同正) 김위제(金謂磾)가 『도선기(道詵記)』 · 『도선답산가(道詵踏山歌)』 · 『삼각산명당기(三角山明堂記)』 · 『신지비사(神誌秘詞)』 등의 풍수도참서(風水圖讖書)를 근거로 하여 남경건도(南京建都)를 주장하였는데, 특히 『삼각산명당기』와 『신지비사』에는 남경(南京)주2를 설명하는 내용이 들어 있다. 『고려사』 권122 열전(列傳) 35 김위제전의 『삼각산명당기』에는 고려시대 남경(현, 서울 지방)을 명당으로 풀이하였다.

그 내용으로 “눈을 들고 머리를 돌려 산의 모양을 살펴보면[擧目回頭審山貌]/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였으니[背壬向丙是仙鼇]/ 이곳이 바로 명당[仙鼇]이다.[背壬向丙是仙鼇]/ 음양(陰陽)의 꽃이 서너 겹으로 피었으니[陰陽花發三四重]/ 몸소 소매를 걷어 붙이고 산을 등지며 수호(守護)에 임하는구나[親袒負山臨守護]/ 안산(案山) 앞의 조산(朝山)이 대여섯 겹이며[案前朝山五六重]/ 고모산과 숙부산, 아버지산과 어머니산이 높이 용솟음쳐 있구나[姑叔父母山聳聳]/ 안팎의 문을 각기 개 세 마리씩이 지키며[內外門犬各三爾]/ 임금님을 모시는데 항상 충성을 다하고 있다네[侍龍顔勿餘心]/ 청백(靑白)이 서로 오르니 시비(是非)하지 말라.[靑白相登勿是非]/ 내외(內外)의 상객(商客)이 각기 보배를 바치네.[內外商客各獻珍]/ 이름 파는 인객(隣客)이 자식처럼 오고[賣名隣客如子來]/ 나라와 임금을 보필하는데 모두 한마음이네,[輔國匡君皆一心]/ 임자년 중에 주1한다면[壬子年中若開土]/ 정사년에 성자(聖子)를 얻으리라.[丁巳之歲得聖子]/ 삼각산에 기대어 주3을 지으면[憑三角山作帝京]/ 9년째에 사해(四海)가 조회하리라.[第九之年四海朝].”라는 기록이 전한다.

의의 및 평가

숙종 때 남경을 재설치함에 있어 주4인 위위승동정 김위제는 『삼각산명당기』의 내용을 『도선기』, 『신지비사』 등의 지리도참 내용과 더불어 크게 강조하여, 남경의 설치와 순주(巡駐, 왕이 순행하면서 머묾)를 주5도 하였다. 그 결과 1104년(숙종 9) 남경 궁궐의 주6을 보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을유문화사, 1948)
이병도, 『한국사: 중세편』(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최혜숙, 『고려시대 남경 연구』(경인문화사, 2004)
김창현, 『고려의 남경, 한양』(신서원, 2006)

논문

김호동, 「성리학의 보급에 따른 풍수도참사상의 변동」(『한국중세사연구』 21, 한국중세사학회, 2006)
백승종, 「한국의 정치적 예언서와 사회 현실」(『서강인문논총』 15,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1)
윤경진, 「고려 숙종 대 남경 설치와 역사계승 의식」(『서울과 역사』 105, 서울역사편찬원, 2020)
홍영의, 「고려시대 남경 경영의 배경과 공간 영역」(『한국중세사연구』 68, 한국중세사학회, 2022)
주석
주1

집을 짓거나 뫼를 쓰기 위하여 땅을 파기 시작함. 우리말샘

주2

지형이나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연결시켜, 죽은 사람을 묻거나 집을 짓는 데 알맞은 장소를 구하는 이론. 우리말샘

주3

천자(天子)가 있는 도읍. 우리말샘

주4

천문(天文), 역수(曆數), 풍수지리 따위를 연구하여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5

임금에게 아뢰어 청하다. 우리말샘

주6

건축물이 완공됨. 또는 건축물을 완공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