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역인 삼례역에는 조선초기 역승(驛丞)이 있었으나, 성종대 이후 앵곡도와 병합하였고 종6품직인 찰방이 삼례역과 그 속역들을 관장하였다.
관할범위는 여산(礪山)-전주(全州)-금구(金溝)-태인(泰仁)-정읍(井邑)-장성(長城) 방면에 이어지는 역로(驛路)와 전주∼남원(南原), 전주∼순창(淳昌), 함열(咸悅)-임피(臨陂)-옥구(沃溝), 함열-만경(萬頃)-부안(扶安)-고부(古阜)로 이어지는 역로이다.
이에 속하는 역은 전주의 반석(半石)·앵곡(鶯谷), 임실의 오원(烏原)·갈담(葛覃), 임피의 소안(蘇安), 함열(咸悅)의 재곡(材谷 또는 才谷), 여산의 양재(良才), 태인의 거산(居山), 정읍의 천원(川原), 고부의 영원(瀛原), 부안의 부흥(扶興), 김제(金堤)의 내재(內才) 등 12개역이다.
삼례·반석·양재·앵곡역 등은 중로(中路 또는 中驛)에 속하는 역이고, 그 밖의 역은 소로(小路 또는 小驛)에 속하는 역들이었다. 이 역도는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까지 존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