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현육각 ()

목차
관련 정보
김홍도필 풍속도화첩 중 무동
김홍도필 풍속도화첩 중 무동
국악
개념
향피리 2· 대금 · 해금 · 장구 · 북의 6인조가 원칙인 악기편성법.
목차
정의
향피리 2· 대금 · 해금 · 장구 · 북의 6인조가 원칙인 악기편성법.
내용

향피리 2·대금·해금·장구·북의 6인조가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서 악기의 종류나 편성 인원에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조선시대 후기 김홍도(金弘道)나 신윤복(申潤福)의 풍속도에서는 모두 향피리 2·대금·해금·장구·북으로 편성되어 있으나 근래의 무용반주에서는 피리 두 개 대신 피리 한 개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또 1701년(숙종 27) 일본 <통신사행렬도 通信使行列圖> 중의 세악수(細樂手) 편성을 보면 해금·피리·대금·북·장구·징으로 피리 1 대신 징이 들어가 있다. 또한, 1926년 김석태(金錫泰)가 그린 <조선열성조능행도 朝鮮列聖朝陵行圖>에는 말을 탄 어전취타(御前吹打)와 세악수의 그림이 있는데, 그 그림에 있는 세악수의 편성은 해금 4, 대금 4, 피리 4, 장구 4로 되어 있다.

현행의 삼현육각 편성은 국립국악원에서 하는 무용반주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개의 경우 악기의 종류나 편성 인원이 옛날의 원칙과는 다르게 편성된다. 특히 민속 삼현육각이라고 할 수 있는 굿판[巫儀式]의 삼현육각이나 탈춤판의 삼현육각은 형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편성된다.

서울굿의 경우 피리·대금·해금·장구·바라로 편성되고, 경기도 당굿의 경우 피리·대금·해금·장구·징으로 편성되며, 현행 <진도씻김굿>의 경우 피리·가야금·아쟁·징·북으로 편성된다. 또 <은율탈춤>의 경우 피리·해금·장구로 편성되고, <양주별산대놀이>의 경우 피리·해금·대금·장구로 편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무용반주로 사용되는 경우는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도나 요즈음의 여러 경우에서와 같이 모두 일렬로 앉아서 연주하는 것이 원칙인데, 앉는 순서는 꼭 일정하지 않다. 다만 피리가 2인조로 두 개 사용될 때는 반드시 옆에 붙어 앉는다. 삼현육각을 연주하는 장소는 <양주별산대놀이>의 경우 ‘삼현청(三絃廳)’이라고 한다.

삼현육각이 행악(行樂)으로 사용될 때는 여러 가지 연주형태를 취한다. 임금의 행차에는 어가(御駕)의 앞뒤에 2개조의 악대(樂隊)가 따르게 마련인데, 앞의 것은 전부고취(前部鼓吹)라 하여 대취타(大吹打)의 악기편성이고, 뒤의 것은 후부고취(後部鼓吹)라 하여 삼현육각의 편성이었다.

이 삼현육각 악사들은 ‘세악수’ 또는 ‘삼현수(三絃手)’라고도 불렀다. 세악수의 편대(編隊)와 자세는 경우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1571년(선조 4) <영접사제도감청의궤 迎接賜祭都監廳儀軌>에는 후부고취가 일렬횡대로 6인씩 두 줄로 서서 연주하는 모습이고, 1701년의 일본 <통신사행렬도>에는 해금과 북, 대금과 장구, 피리와 징이 2열 종대로 3인씩 걸어가면서 연주하는 모습이다.

또, 1926년 <조선열성조능행도>에서는 세악수들이 모두 말을 타고 가면서 연주하는 모습이다. 민화(民畫)에 나타나는 민간의 행악행렬은 해금과 대금, 피리 2, 장구와 북 등이 2열종대로 걸어가면서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행악행렬은 평생도(平生圖)에 나오는데 하나는 과거에 급제하여 집으로 돌아올 때 급제자가 삼현육각을 앞세우고 걸어 오는 그림이고, 다른 하나는 벼슬길에 나아가서 행차할 때 삼현육각을 연주하고 가는 모습이다. 결국 삼현육각은 일렬횡대로 앉아서 연주하거나, 2열횡대로 서서 연주하거나, 2열종대로 걸어 가면서 연주하거나, 말을 타고 말 위에서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삼현육각의 편성으로 같은 음악을 연주하더라도 감상용으로 음악만 독립하여 연주하면 ‘대풍류[竹風流]’라 하고, 무용반주로 쓰일 때만 삼현육각이라고 하는 예도 있다. <수제천 壽齊天>(일명 井邑)·<동동 動動>·<삼현영산회상 三絃靈山會相>·<잦은한잎 數大葉>(일명 慶豊年) 등이 감상용으로 연주하는 대풍류의 예에 해당한다.

(1) 궁중음악의 삼현육각

행악으로 쓰이는 악곡명은 <취타 吹打>·<길군악 路軍樂>·<길타령>·<염불타령 念佛打令>(일명 管樂念佛)·<별우조타령 別羽調打令>(일명 三絃打令)·<군악 軍樂> 등이다.

무용반주로 쓰이는 악곡명에는 <춘앵전 春鶯囀>에는 평조회상(平調會相), <가인전목단 佳人剪牧丹>에는 삼현환입(三絃還入)과 타령, <처용무 處容舞>에는 수제천·향당교주(鄕唐交奏)·관악세영산(管樂細靈山)·세환입(細還入), <포구락 抛毬樂>에는 삼현환입, <무고 舞鼓>에는 삼현환입·염불도드리[念佛還入]·삼현타령, <봉래의 鳳來儀>에는 보허자(步虛子)·삼현도드리·염불도드리 등이 있다.

이상에서 보면 궁중무용에 자주 쓰이는 것은 보허자·삼현환입·향당교주·삼현영산회상 등이고, 많이 쓰이지는 않지만 훌륭한 곡으로 치는 것은 수제천·평조회상 등이다.

(2) 민속음악의 삼현육각

옛날에는 지방관아의 연례(宴禮)나 행차에서도 삼현육각이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그런 음악이 연주되지 않은 지 오래이다. 다만 일부가 사가(私家)의 연향(宴享)이나 행차 그리고 굿이나 탈춤의 반주로 남아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각 지방에 전승되는 삼현육각은 다음과 같다.

① 경기 삼현육각:경기지방에서는 회갑잔치의 헌수(獻壽: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리는 것) 때는 ‘대짜’라고 하는 상영산(上靈山)에서부터 삼현도드리까지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승무(僧舞)나 검무(劍舞)에서는 긴염불·자진염불·허튼타령·굿거리를 연주하며, 귀인(貴人)의 행차에는 <길군악>을 연주한다.

도당굿에서는 제석거리와 군웅거리의 청신(請神:신을 청함.)에 삼현을 치는데, 긴염불에서 별곡까지 치고 돌돌이에는 <길군악>을, 문잡이에는 취타를 치며, 굿 중에 나오는 춤에는 삼현도드리·긴염불·반염불·굿거리·허튼타령(또는 자진굿거리)·당악을 쳐서 반주한다. 탈춤의 경우는 춤의 반주음악으로 긴염불·허튼타령·굿거리 등을 연주한다.

경기 삼현에서 ‘대짜’라고 하는 것은 상영산이나 본영산을 가리키는 속명(俗名)으로 4장으로 되어 있다. 삼현도드리는 <삼현영산회상>의 삼현환입에 해당되는데, 장단을 6박 도드리장단으로 치는 점에서는 같지만, 장수(章數)가 4장이 아니고 7장이며 끝장이 돌장[回章]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긴염불은 <염불타령>을 가리키는데 국립국악원의 <헌천수 獻天壽>와 같은 음악이다. 매우 느린 6박자여서 한 박을 3박자로 세면 18박자가 된다. 3장으로 되어 있는데 시작할 때는 3장부터 시작하고 반복할 때는 1장 쇠는장부터 연주한다. 반염불은 긴염불과 같은데 한배(빠르기)만 긴염불의 절반으로 좀 빠르다.

굿거리는 굿거리장단으로 되어 있고 7장 또는 7마루인데 시작할 때는 4장 중간(4마루 반)에서부터 시작한다. 허튼타령은 자진타령장단으로 되어 있고 허튼가락이며, 당악은 일명 ‘휘모리’라 하여 빠른 타령장단인 당악장단으로 되어 있다.

이 밖에 경기지방에서 많이 하던 도당굿에서는 삼현악사들이 도살풀이춤의 반주음악으로 시나위를 연주한다. 그래서 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하는 이러한 시나위를 ‘경기시나위’라고 한다. 경기 삼현악사들은 시나위 솜씨를 그들의 큰 자랑으로 삼고 있고, 그 시나위가 오늘날 도살풀이춤과 함께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② 호남 삼현육각(湖南三絃六角):호남지방에서는 감영(監營)이 있던 전주를 비롯해서 태인·고흥·영광 등지가 전통적으로 삼현육각을 많이 하던 곳이다. 그러나 지금은 어느 지방이나 삼현육각을 그대로 전승하고 있는 곳이 없다. 다만, 과거의 삼현육각을 기억하는 몇몇 노인들을 통해서 호남의 삼현육각을 부분적으로 알아볼 수 있을 뿐이다.

전주 삼현에는 농삼현과 민삼현이 있었다고 하는데, 농삼현은 관아에서 하던 삼현으로 우조(羽調)에 가깝고, 민삼현은 민간에서 하던 삼현으로 계면조에 가까웠다고 한다. 태인의 삼현육각은 호남에서는 물론이고 나라에까지 불려가 연주를 할 정도로 유명하였다고 한다. 실제로 근세 민속악계의 귀재(鬼才)로 불리는 전홍련(全洪連)이 태인 출신이다.

요즈음 향교의 제향이나 큰 집의 회갑연에 간혹 삼현을 칠 뿐, 삼현 치는 일이 아주 드물어졌다고 한다. 고흥지방의 삼현육각은 <여민락>·염불·도드리·타령·굿거리와 행악으로 <길군악>을 연주하였다고 한다. 이 곡들 중 <여민락만>은 궁중연례악에 쓰이던 <여민락>이 아니고 <삼현영산회상> 중의 상영산에 해당하는 음악인 것 같다.

염불·타령·굿거리는 승무의 반주음악으로 쓰이고 염불·타령은 검무의 반주음악으로 쓰였다고 한다. 고흥 삼현의 악기 편성은 피리 2·해금·대금·장구·북이 원칙인데, 이 중 해금 악사가 제일 큰 재비이고, 그 다음이 젓대재비(대금재비)·목피리·곁피리·장구·북재비 순으로 들어간다. 악사석에 앉을 때도 오른쪽에서부터 순서대로 차례로 앉았다고 한다.

영광에서도 민가의 회갑잔치나 과거에 급제하였을 때, 또는 높은 사람의 행차에 삼현을 쳤다고 한다. 삼현의 악기 편성은 해금·젓대(대금)·피리(목재비, 수성질) 2·장구·북의 6인조였는데, 연주할 때는 오른편에서부터 해금·젓대·목재비·수성질·장구·북의 순으로 앉는다고 한다.

영광 삼현육각의 연주 곡목은 본영산·잔영산·염불·도드리·굿거리·타령·취타·당악·<길군악>인데, 회갑연과 같은 큰 잔치에서 잔을 올릴 때는 본영산과 잔영산을 연주하고, 승무반주에는 염불·굿거리·타령을 연주한다. 검무반주에는 염불·굿거리·타령·취타·당악을 연주하고, 귀한 사람의 행차에는 <길군악>을 연주한다고 한다.

③ 황해도 삼현육각:황해도의 삼현육각은 현재 황해도가 아닌 서울에서 연주되고 있다. 황해도 출신으로 <봉산탈춤>·<강령탈춤>·<은율탈춤>의 반주를 맡아 하는 사람이 과거 황해도의 삼현육각을 연주하기 때문이다. 삼현육각은 여러 지방의 탈놀이 반주, 지방의 부잣집의 잔치, 검무·승무·성신무(星辰舞)·팔선무·한량무·남무(男舞) 등의 춤 반주 등으로 쓰였다고 한다.

황해도 삼현육각의 편성은 서울과 마찬가지로 대피리(향피리) 2·대금·해금·장구·북의 6재비를 원칙으로 한다고 한다. 그러나 잔치의 규모에 따라서 4재비로 해야 할 경우는 피리 2·장구·북으로 편성하고, 3재비로 해야 할 경우는 피리 2·장구로 편성한다고 한다.

해서 삼현의 연주 곡목에는 긴짜·긴도드리·자진도드리·염불·타령·굿거리·<길군악> 등이 있는데, <봉산탈춤>·<강령탈춤> 등에는 긴도드리·자진도드리·타령·굿거리 등이 쓰인다.

승무·검무·한량무·남무와 같은 춤에는 긴짜·도드리·염불·타령·굿거리 등이 쓰이고, 행진이나 행차에는 <길군악>이 쓰였다. 이 중 긴짜란 <삼현영산회상>의 긴영산을 가리키는데 승무나 검무 등의 반주음악으로 쓰였다.

타령에는 느진타령·자진타령·타령시나위가 있는데, <봉산탈춤>·<은율탈춤>과 검무·승무 등 여러 가지 춤의 반주음악으로 쓰인다. 은율지방의 삼현육각도 해주지방의 삼현육각과 비슷한데, 연주 곡명 중 <보완사타령>·<불림타령> 같은 이름이 등장한다.

<보완사타령>은 검무나 탈춤의 사자놀이에서 쓰이는데 4박자로 되어 있고, <불림타령>은 삼현춤이나 탈춤에 쓰이고 역시 4박자로 되어 있다.

④ 영남 삼현육각:영남지방의 삼현육각은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승전무>의 악사들이 있어서 그 일부는 잘 전승되고 있다. 통영지방의 삼현육각도 큰 제사나 회갑연에서 잔 올릴 때, 각종 민속춤, 행진 또는 굿의 청신 같은 데 쓰인다.

이순신탄신제나 회갑잔치의 잔 올리는 순서에서는 거상을 연주하고 귀인행차, 부잣집 상여 행차, 큰 제사의 송신 등에는 <길군악>을, 승전무의 반주에는 염불·타령·굿거리를, 검무의 반주에는 염불·타령·자진타령을, 굿의 청신에는 긴염불을 연주한다.

참고문헌

『한국음악사』(장사훈, 정음사, 1970)
『무형문화재 음악조사보고서 Ⅳ-삼현육각-』(이보형, 문화재관리국,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종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