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농악 ()

목차
관련 정보
이리농악
이리농악
국악
작품
문화재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
내용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익산시 새실마을에서는 예로부터 마을농악이 성하게 전승되어왔고, 김제 · 정읍 등지에서 전문적인 농악을 배워온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전문적인 농악단으로 발전하였다.

꽹과리(3, 4개) · 징(2, 3개) · 장구(3, 4개) · 북(1, 2개) · 소고(6, 8개) · 호적(1, 2개) · 나발(1, 2개) 등의 악기가 쓰이며, 그 편성은 먼저 영기(令旗)가 있고 대포수 · 호적수 · 쇠잡이(상쇠 · 부쇠 · 종쇠 · 끝쇠) · 징(수징 · 부징) · 장구(수장구 · 부장구 · 종장구 · 끝장구) · 북(수북 · 부북) · 법고(수법고 · 종법고 · 부법고 · 끝법고) · 창부 · 조리중 · 무동 · 양반 등으로 되어 있다. 쇠가락에는 일채 · 이채 · 삼채 · 외마치질굿 · 풍류굿 · 오채질굿 · 좌질굿 · 양산도가락 · 호호굿 · 오방진가락 등이 있다.

이리농악은 비교적 느린 가락을 많이 쓰며, 가락 하나하나가 치밀하게 변주되어 리듬이 다채로운 것이 특징이다. 풍류굿 · 덩덕궁이(삼채굿)에서는 악절마다 맺고 푸는 리듬기법을 쓴다.

이리농악은 유장하며 매우 구성진 느낌을 주는데, 특히 오채질굿은 호남 우도농악에서만 보이는 것이다. 호남 좌도농악에서 보이는 영산과 짝두름은 적다.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1호 농악 중의 하나로 지정되었고, 현재 예능보유자로는 김형순(金炯淳 : 설장고)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종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