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악 ()

목차
관련 정보
강릉단오제 / 중악사들의 연주 모습
강릉단오제 / 중악사들의 연주 모습
국악
개념
무속의식에 수반되는 모든 음악.
목차
정의
무속의식에 수반되는 모든 음악.
내용

무속음악의 준말로 종교의식의 굿이나 놀이 형태의 굿 절차에서 무당이 부르는 노래와 반주를 맡은 이들의 반주음악·효과음악, 독립적인 기악곡 등을 모두 포함한다. 굿은 보통 본무당 외 조무(助巫:보조 무당)와 흔히 재비로 불리는 반주를 맡은 악사들에 의하여 진행된다.

그러므로 무당은 무가(巫歌)를 중심으로 하고 조무는 만수받이의 응답창을 부르든지 본무당을 도와 무무(巫舞)를 춘다거나 장구를 치는 것이 중심이 된다. 그리고 재비는 이러한 무가나 무무의 반주음악을 주로 담당한다.

굿에는 지방과 목적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 어느 굿에서나 음악이 두루 사용되고 있으나 사람이 죽었을 때 하는 ‘오귀굿’과 마을 단위로 하는 ‘마을굿’에서 음악이 가장 많이 쓰인다. 같은 지방에서 하는 굿일 경우 굿 종류에 관계없이 그 음악이 대개 같으나, 지방이 다르면 같은 종류의 굿이라고 할지라도 음악이 서로 다르다. 그래서 지방마다 독특한 무악권을 형성한다.

굿은 우리 민족 대다수 계층에서 오랜 기간을 이어온 민간신앙의 종교의식으로, 여기에 수반된 무악은 시나위 음악을 낳게 하였고, 판소리·산조(散調)·민요·농악 등 민속음악 전반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무의식은 우리 민족의 고유신앙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무악의 기원은 우리민족의 기원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유물로 보이는 칼·방울·거울 등은 오늘날 무구(巫具)로 사용되고 있는 것과 종류가 비슷하다.

무악에 관한 최초의 기록인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따르면 고구려와 예에서는 10월에 각각 동맹(東盟)·무천(舞天), 부여에서는 정월에 영고(迎鼓)라는 제천대회(祭天大會)를 열었고, 마한에서도 5월에 이와 비슷한 행사를 가졌다.

이들 제천대회는 나라마다 조금씩 그 모습이 달랐으나 하늘에 제사하고 가무음주(춤추고 술 마심)한 공통점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천대회는 굿의 일종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주재자는 무격(巫覡)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풍은 오늘날 ‘강릉별신굿’이나 각 지방의 ‘도당굿’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제천의식에 수반되었을 음악들은 지금의 무악의 범주에 해당된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무악에 대해 언급한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삼국사기≫에서 신라 초기에 왕을 무(巫)의 뜻을 지닌 ‘차차웅(次次雄)’이라 한 것과, ≪고려사≫의 기록 중 팔관회에서 선랑(仙郎) 또는 국선(國仙)들이 아뢰는 백희가무(百戱歌舞)에서 이를 추측해볼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 등의 정사(正史)와 선인들이 남긴 문집 등에서 여기 저기 굿과 무악에 관한 기록이라 할 수 있는 것들이 보일 뿐이다. 특히, 성현(成俔)의 ≪용재총화 慵齋叢話≫에 보이는 <신방곡 神房曲>, 이익(李瀷)의 ≪성호사설 星湖僿說≫과 여러 금보(琴譜)에 보이는 심방곡(心方曲) 등이 무악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용향악보≫에 보이는 <내당 內堂>·<성황반 城皇飯> 등 여러 곡은 무악과 관련 있는 것이 분명하다. 무악에 관한 직접적인 기록은 찾아보기가 어렵지만, 굿과 이에 수반된 무악은 상고에서부터 현대에까지 연면히 이어져온 것이 틀림없다.

그러나 조선조 이래로 근대에 오면서 예악(禮樂)과 근대사상, 그리고 기독교사상의 영향으로 굿을 미신으로 여기면서 굿과 더불어 무악도 점점 그 모습을 잃어가고 있다. 일제시대는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무속연구가 한때 성행하였으나 무악은 제외되었다.

광복 뒤에도 한동안은 무속에 대한 비판으로 무악까지도 도외시되는 그릇된 관념 속에 있었으나, 최근에는 상황이 호전되어가는 실정이다.

무악은 다른 민속음악과 마찬가지로 지방에 따라 독특한 음악적 특색을 지닌 토리를 가지고 있다. 무악의 토리는 무당이 낭송식으로 많은 노랫말을 부르는 무가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주로 무당이 부르는 무가에 따라 토리를 구분하고 무악권을 설정하게 되는데, 학자에 따라서 구분이 일치하지 않지만, 흔히 서울과 경기지방, 전라도와 충청도, 경상도의 일부지방, 경상도와 강원도의 동해안지방, 평안도와 황해도 지방의 4대 무악권으로 나누고 있다. 그리고 별도로 제주도를 독립된 무악권으로 설정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 지방의 무가는 보통 ‘노랫가락조’ 또는 ‘창부타령조’라고 부르고 있으며, 전라도와 충청도 그리고 경상도 일부 지방의 무가는 흔히 ‘육자배기토리’라고 한다. 이렇게 부르는 까닭은 이 두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의 토리가 무악의 토리와 서로 닮아서 음악적 특징이 흡사하기 때문이다.

평안도와 황해도의 무가는 ‘수심가토리’ 또는 ‘난봉가토리’라고 하는데, 이것도 또한 이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의 토리와 무가의 토리가 서로 닮았기 때문이다. 한편 경상도나 강원도의 동해안 지방의 무가는 ‘메나리토리’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이들 지방의 민요의 선율구성이 바로 메나리라고 부르는 독특한 음계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같은 음악적 특징을 가진 무가까지도 이렇게 부르게 된 것이다.

제주도의 무가는 육지와 달리 또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제주도의 무가는 ‘서우젯소리토리’라고 하는데, 이 <서우젯소리>는 실제 굿에서 불리는 노래가 일반인 사이에 널리 퍼져 민요처럼 된 노래이다. 이처럼 각 지방의 무가 토리는 그 지방민요의 토리와 동일하다. 그것은 무가가 굿의식에서 각 지방에서 가장 잘 전달될 수 있는 곡조로 불리기 때문에, 민요와 서로 밀접히 관계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무가는 반드시 굿을 주재하여 나가는 무당이 하는 것이지만, 무악은 굿의 진행을 도와주는 악사들이 하게 마련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당 스스로가 장구나 꽹과리를 치면서 무가를 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악사들이 반주음악을 담당한다.

반주음악에 사용되는 악기나 악기 편성도 지방에 따라 또는 때와 장소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한가지로 말하기는 어렵다. 또, 굿의 규모에 따라서도 다르다. 서울과 경기지방 굿에서는 원칙적으로 삼현육각 편성을 쓰게 되어 있다.

피리 둘에 젓대·해금 각 하나씩, 그리고 장구·북·바라·방울·꽹과리로 편성하는 것이 가장 충실한 편성이다. 그러나 대개 피리를 하나만 쓰고 젓대와 해금으로 선율악기를 편성한다. 피리·젓대·해금은 반드시 남자 악사들인 재비가 담당하고, 장구와 바라는 여자무당들이 담당한다.

한강 이남의 경기지방에서는 선율악기로 피리·젓대·해금을 쓰고, 타악기로 장구와 징을 써서 역시 삼현육각 편성이다. 전라도와 충청도 지방의 굿에서도 선율악기가 많이 편성되는데, ‘은산별신굿’에서는 피리와 대금이 사용되고 ‘진도씻김굿’에서는 피리·아쟁·가야금 등이 쓰이며, ‘장산도씻김굿’에서는 선율악기가 사용되지 않는다.

이 지방의 타악기로는 ‘은산별신굿’이 장구와 북을, ‘진도씻김굿’은 장구와 북 그리고 징을 중요하게 쓰고 있다. 한편, 선율악기가 없는 ‘장산도씻김굿’에서는 장구와 징으로 무가와 무무의 반주를 담당한다.

경상도와 강원도 동해안지방의 굿에서는 선율악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꽹과리와 장구·징·바라로 반주를 하는데, 꽹과리는 대개 두 개를 쓰고 나머지는 한 개씩 사용한다. 꽹과리와 장구는 양중이나 화랭이라고 불리는 남자들이 담당하고, 징과 바라는 대개 여자 무당들이 담당한다. 부산지방에서는 호적을 불기도 하는데, 그것은 호적을 잘 부는 김석출(金石出) 때문이며 일반적인 경향은 아니다.

제주도의 굿에서도 선율악기는 쓰이지 않는다. 대양이라고 부르는 징과 설쇠라고 부르는 꽹과리와 장구·북이 쓰인다. 좀 특별한 것은 설쇠를 들고 치는 것이 아니라 채바퀴 같은 것을 엎어놓고 그 위에 설쇠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대나무 막대기 두 개를 한 손에 하나씩 양손에 들고 두드린다. 북을 치는 방법도 육지와는 다르다. 대나무 뿌리로 만든 두 개의 막대기(북채)를 양손에 들고 북의 한쪽 면만을 번갈아 두들긴다.

황해도나 평안도의 굿에서는 원칙적으로 선율악기를 쓰게 되어 있지만, 요즈음 악사가 귀하여 제대로 선율악기를 편성하지 못한다. 선율악기를 쓸 경우 피리·해금·대금을 쓴다. 타악기로는 장구·징·바라를 주로 쓰고 가끔 갱정이라고 부르는 꽹과리를 쓰기도 한다.

황해도 굿에서는 구구방울이라고 하여 여러 개의 방울이 달린 방울타래를 악기와 같이 사용하는데, 그 악기는 반드시 조무가 주무의 옆에 서서 만수받이 후렴을 받아줄 때 사용한다.

무의식에서 선율악기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은 경상도와 강원도의 동해안지방과 제주도뿐이고, 다른 지방은 다 원칙적으로 선율악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요즈음 여러 가지 형편상 많은 지방의 굿에서 재비 없이 무당들끼리 타악기만을 사용하며 간단하게 굿을 하는 경우도 있다.

무가는 무당이 주로 하는 부분이지만 무의식에 쓰이는 기악은 주로 재비들이 담당한다. 강신무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한강 이북의 서울이나 서도지방의 재비는 특별한 교육을 받은 악기 전문가들이 대부분이고, 세습무지역이라고 할 수 있는 한강 이남의 경기도나 전라도, 동해안지방은 대개 무당 집안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굿판에서 무악을 익힌 사람들이다.

재비에 대한 명칭은 악사(樂士)·악공(樂工) 또는 아공·산이·양중·화랭이 등 지방에 따라 여러 가지이다. 재비의 교육은 매우 엄격하여 중부 이북에서는 개인교습을 통하여 악기를 배우는 것이 보통이고, 동해안지방이나 전라도에서는 집안 어른 중 무악에 능한 어른에게 굿판현장에서 쉬운 악기부터 차차 어려운 악기의 순서로 배운다.

재비들의 임무는 무당이 주재하는 무가나 무무의 반주에서부터 각종 극적인 대목의 효과음악에 이르기까지 굿의 전체 진행을 무당과 함께 해나간다.

무당이 부르는 무가에 바라지(주 무당이 노래하면 후렴처럼 나머지 무당들이 함께 하는 소리)를 해준다든지, 무당이 춤을 출 때 구음으로 살풀이가락을 해주는 것도 역시 재비들이 하는 일이다. 또, 재비가 직접 굿의 한 거리를 주재하기도 한다. 경기남부의 돌돌이라든지 동해안지방의 거리굿은 반드시 재비 중의 한 사람이 맡아서 한다.

한편 제주도지방의 무당은 심방이라고 부르는데 일종의 세습무들이다. 심방은 여자도 있고 남자도 있는데 이곳 심방은 남자일지라도 여자 복장은 하지 않는다.

또한 재비라고 하여 따로 전문가가 있는 것이 아니고 심방이 곧 재비이고 재비가 곧 심방이며, 같은 심방끼리 서로 교대로 재비의 구실을 해준다. 그런데 북은 대개 남자가 치고 설쇠는 여자가 친다. 다른 악기는 그때그때 형편에 따라 남녀 아무나 친다.

무악의 장단은 무가를 할 때의 장단과 무무나 놀이 진행 때의 반주 장단이 조금 다르다. 또, 무악의 장단 명칭이나 장단 내용이 지방에 따라 매우 다르다. 물론, 공통적인 것도 있지만 다른 부분이 더 많다.

서울굿의 만수받이는 5박장단으로 된 것이 많고 <창부타령>은 굿거리로, 노랫가락곡조는 5박과 8박이 혼합된 노랫가락장단으로 부른다. 황해도굿의 만수받이는 5박으로 된 보통 만수받이와 4박 휘모리형의 자진 만수받이와 느린타령형의 긴 만수받이가 있고, 굿중에 불리는 노래로는 굿거리나 타령장단의 민요형 노래가 몇 개 있다.

경기 남부의 무가는 성주굿같이 외장구로만 된 것도 있지만, 초부정처럼 가래조장단·도살풀이장단·모리장단·발벋으래장단·덩덕궁이장단이 계속 이어져서 한 거리의 무가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가래조장단은 3박과 2박이 섞인 혼합박자로서 10박이 한 장단을 이루는 엇모리형이고, 도살풀이장단은 2분박의 좀 빠른 6박자이며 모리장단은 3분박의 좀 빠른 4박자이고, 발벋으래장단은 3분박 2박장단이며 덩덕궁이장단은 3분박 빠른 4박자이다.

전라도지방 무가도 매우 다양하여 여러 가지 장단이 계속되는 무가가 많다. 부안지방굿의 경우 ‘제석굿’이 살풀이장단→시님장단→살풀이장단→중모리장단→중중모리장단→살풀이장단→시님장단 순서로 되어 있다. 이 중 살풀이장단은 3분박 4박장단이며 시님장단은 5박자의 혼합박자이고, 중모리나 중중모리 등 보통 민속악에서 사용하는 장단과 같다.

동해안지방의 무가는 독특한 형식의 청보장단과 제마수장단으로 되어 있다. 청보장단은 처음에 푸너리라고 하는 무용반주의 서주(序奏)에 이어서 8분박 5박자로 4구를 노래하면 그만큼 길이를 기악으로 연주하고(이때 무녀는 춤을 춘다), 다시 그만한 길이로 노래하면 또 기악을 연주하고 하여 노래와 춤을 번갈아 계속한다.

8분박 5개가 한 구를 이루는 것은 청보 1장이고, 청보 2장은 3분박 5개가 한 구를 이루는 것이다. 청보 3장은 2분박 5개가 한 구, 청보 4장은 1분박 5개, 즉 5박자가 한 구를 이루어 4개의 구를 노래와 춤(기악)이 교대로 반복한다. 청보 5장은 자진모리장단이다. 따라서, 청보장단은 1장에서 5장까지 차츰차츰 빨라지면서 장단이 바뀌어 나간다.

이런 무가의 장단은 일종의 형식을 갖춘 장단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제마수장단도 청보장단과 마찬가지로 형식을 겸한 무가의 장단인데 제마수장단은 보통 3장으로 나누어진다. 제마수 1장은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3+2+3으로 혼합되어 기본박을 이루는데, 기본박 6개가 1장단을 이루어 무가와 무무를 1장단씩 교대로 해나간다. 제마수무가의 2장은 2분박 6개가 한 장단이 되고, 제마수무가 3장은 자진중중모리형 장단으로 되어 있다.

동해안지방에서는 청보장단이나 제마수장단 외에도 3분박 5박짜리 고삼장단이나 혼합박자인 3+2+3+2로 된 자삼장단이 무가의 장단으로 쓰인다.

제주도 무가의 장단은 무(無)장단이라 할 만큼 자유리듬으로, 무당이 직접 치면서 하는 불규칙적인 것이 많다. 규칙적인 장단으로는 굿거리계통이 많이 쓰이고, 3분박 4박짜리 삼석치기장단이 초감제에서 쓰인다.

한편, 무무의 반주음악으로 쓰이는 장단은 무가의 장단과 공통적인 것이 많다. 무가의 장단과 구별되는 몇 가지 장단을 음악의 특징과 함께 살펴보면, 서울굿의 무무에 쓰이는 장단은 긴염불·반염불·타령·굿거리·당악 등인데 이 장단들의 이름은 곧 기악곡의 곡명도 된다.

즉, 긴염불은 장단 이름이자 곡명이다. 경기남부의 무무에는 진쇠장단·부정놀이장단·터벌림장단(반설음장단)·올림채장단·겹마치장단·덩덕궁이장단 등이 쓰인다. 진쇠장단은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3+2+2+3 또는 2+3+3+2로 혼합된 혼합박자이고, 터벌림춤에 쓰이는 반설음장단은 3분박 좀 빠른 5박자이다.

이런 장단들은 대개 여럿이 변화 있게 춤의 반주에 계속하여 쓰이기 때문에 춤이 다양해 보인다. 진쇠춤 같으면 진쇠장단→조임채→넘김채→겹마치→덩덕궁이(자진굿거리)식으로 계속되고, 제석춤 같으면 도드리→올림채→덩덕궁이→당악장단으로 짜여진다. 이 밖에도 터벌림춤·손굿춤·군웅춤 등이 다 변화 있게 여러 가지 장단으로 짜인다.

무가에서 사용되는 노랫말은 내용에 따라 청신(請神)·본풀이[本解]·놀이[遊歌]로 나눌 수 있다. 청신무가란 신을 불러들이고 보내는 내용의 무가이고, 본풀이무가는 서사적으로 액을 풀어 없애는 내용과 어떤 사건을 장절(章節) 구별 없이 통절형식(通節形式)으로 길게 묘사한 것이다.

놀이무가는 민요처럼 유절형식(有節形式)으로 되어 있고 경기지방에 많으며,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것이다. <창부타령>·<노랫가락>·<성주풀이> 등은 이의 대표적인 곡들로 보통 민요로 취급되기도 한다.

무악의 선법적 특징은 일부지방의 무악이 선율악기를 채용하지 않는 까닭에 무가만으로 특징을 살펴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무가의 선법적 특징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지방의 민요에서 보이는 특징과 같다.

서울·경기 지방은 5음으로 된 평조(平調) 선법인 경조(京調), 즉 경토리이다. 서양음악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솔·라·도·레·미로 구성되어 있고, 장·단 3도의 진행이 많다.

전라도를 중심으로 한 무가는 남도 계면조(界面調)의 떠는 목, 평으로 내는 목, 꺾는 목의 특색을 지닌 3음 중심의 계면조이다. 보통, 미·라·시가 중심음으로 순서대로 각각 여기에 해당된다. 평안도·황해도의 무가는 완전5도와 단3도를 뿌리로 한 레·라·도에 미와 솔이 그 사이에 놓이는 선법이고, 대개 라음을 떨어준다.

동해안지방의 무가는 완전4도에 단3도를 쌓아올린 선법으로, 대개 미·라·도가 근간이 되며 그 사이에 미와 레가 추가된다. ‘도’음은 때에 따라서 전라도지방의 꺾는 음과 같은 구실을 하기도 한다. 제주도의 무가는 그 민요와 더불어 아직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시나위는 경기시나위와 남도의 육자배기시나위로 나눌 수 있으며, 해당 지방 민요의 선법과 같다.

시나위는 정확한 기원을 알 수 없고, 신라의 사뇌(詞惱)·사내(思內)에서 유래되었다는 학설이 있기는 하다. 시나위는 원래 무악의 반주음악으로, 피리·젓대·해금·징·장구 등으로 굿거리·살풀이·도살풀이·덩덕궁이와 같은 장단에 맞추어 합주로 연주되었으나 요즈음 독주로도 연주되고 있다. 그리고 굿의 반주가 아닌 무대음악으로도 연주되며 여러 민속음악에 영향을 준 특징적인 음악이다.

한때 미신으로 배척당하던 굿은 요즈음 전통문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과 민속학 연구의 결과로 되살아나고 있으며, 무악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가고 있다. 여러 단체에서 교육과 연주를 통해서 무악을 보급, 전수하고 있으며, 작곡가들은 무악의 여러 가지 요소를 활용하여 새로운 국악을 창작하는 등 현대 국악에 미치는 영향 또한 적지 않다.

이와 같이 현재의 무악은 굿판을 넘나들며 생활 음악으로 나아가 문화공간의 현장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아울러 한국음악의 질과 양을 넓혀가는 데 공헌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가에서도 이의 보급과 전승의 중요성을 깨달아 정책적으로 이를 보호,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하나로 충청도의 ‘은산별신제’가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차진룡(車鎭龍)이 지정되어 있고, ‘강릉단오제’가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김진덕(金振悳)이 무가의 예능보유자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주도의 ‘제주칠머리당굿’이 1980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안사인(安仕仁)이 무가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그의 사망으로 1995년 김윤수(金允洙)가 지정되어 있다.

‘진도씻김굿’이 1980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박병천(朴秉千)이 무가·무악으로, 채계만(蔡桂萬)이 아쟁으로, 김대례(金大禮)가 무가로 각각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시나위는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영희(池瑛熙)가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나, 그가 사망하자 현재 예능보유자는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무악이 활발히 연주되고 전승, 보존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국토분단으로 인하여 북한지역의 무악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가 없어 아쉬움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용재총화(慵齋叢話)』
『성호사설(星湖僿說)』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삼국지(三國志)』
『고가연구』(양주동, 일조각, 1965)
『한국음악사』(장사훈, 정음사, 1976)
『한국무속의 종합적고찰』(김인회 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2)
「단군고기전석」(최남선, 『사상계』, 1954.2.)
「시나위와 사뇌에 관한 시고」(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시나위권의 무속음악」(이보형, 『문화인류학』 4, 한국문화인류학회, 1971)
「태백산맥 이동지방의 민요선법의 연구」(한만영, 『예술원논문집』 12, 대한민국예술원, 1973)
「무악」(『민속악체계정립자료집』 3,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0)
집필자
최종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