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오광대 ()

목차
연극
작품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서구리에 전승하던 탈놀이.
목차
정의
경상남도 사천시 서포면 서구리에 전승하던 탈놀이.
내용

그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1920년경 이 마을에 와서 살던 오징이영감이라는 분이 가면을 만들고 놀이를 가르쳐 주어 본격적인 놀이를 시작하여, 1935년경까지 해마다 놀았다고 한다.

오징이영감이라는 사람은 한때 가산오광대(駕山五廣大)의 가면을 제작하기도 하고 옹생원역을 하기도 하면서 놀이를 주도하였던 한호진(韓浩鎭)으로 추정되는데, 그렇다면 서구오광대는 가산오광대와 같은 계통이라 할 수 있다.

이 마을에서 오광대를 놀게 된 동기는 마을의 농악대가 인근에 소문이 날 정도로 기량이 우수하여 정초에 다른 마을에 순회공연을 했는데, 농악대가 있는 마을에서 이따금 공연을 거절하는 경우가 있어, 농악이 아닌 특별한 공연물이 있다고 내세우기 위해 오광대를 준비했다고 한다.

놀이의 준비는 음력 12월 20일경부터 모자라는 악기를 구입하고 가면을 수리하고 의상을 손질한다. 그리고 음력 정월 3, 4일경 이 마을에서 농악대가 아침부터 마을제당에 고사를 지내고 집돌금(농악대가 각 가정을 방문하여 악기를 치며 성주풀이·조왕풀이 등 벽사진경(辟邪進慶)의 축원을 하는 지신밟기)을 치고 저녁에 넓은 마당에서 마을사람들을 모아 놓고 자정까지 오광대놀이를 하였다.

자기 마을의 공연이 끝난 다음날부터 정월 20일경까지 같은 서포면뿐만 아니라 인근 곤양면 일대의 마을을 돌며 농악과 오광대의 순회공연을 하였다. 다른 마을에서도 대개 하룻동안 공연을 하였는데, 낮에는 집돌금을 치고 저녁에는 오광대를 연희하였다.

집돌금을 칠 때 각 가정에서 사례로 내어놓는 돈과 쌀을 모으면 공연경비를 제하고도 마을의 공동기금을 마련할 정도였으므로, 오광대는 무료로 구경시켰다고 한다.

놀이내용은 먼저 연희자가 모두 나와 집단난무(集團亂舞)를 한참 추다가 퇴장하고, 제1과장(科場:마당)으로 중앙황제장군(中央黃帝將軍)이 등장하여 동서남북의 각 신장(神將)을 불러서 함께 벽사진경의 의식무(儀式舞)를 추는 오방신장무(五方神將舞)과장부터 시작한다.

제2과장은 영노가 등장하여 오방신장을 쫓아 퇴장시킨 뒤, 홀로 남아 있는 황제장군을 잡아먹겠다고 하니까 비굴하게 굴며 자기는 양반이라고 하자 오히려 잘 되었다고 하며 잡아먹는 내용으로 된, 양반을 풍자하고 응징하는 영노과장이다.

제3과장은 다섯 문둥이가 춤을 추다가 투전을 하는데, 천연두를 앓는 아이를 데리고 나온 어딩이가 개평을 달라고 해도 주지 않으니까, 관가에 고발하여 순사가 문둥이들을 잡아가는 내용으로 된, 문둥이의 생태를 소극화(笑劇化)하면서 권선징악적인 주제를 가미한 문둥이과장이다.

제4과장은 하인 말뚝이가 양반의 강요에 못 이긴 채 문안인사를 드리면서 희롱하고 양반 부인과 정을 통했다고 하여, 양반계급의 허위와 부정을 신랄하게 풍자하는 양반과장이다.

제5과장은 양반의 첩인 제대각시를 업고 달아났던 중이 잡혀 와서 곤장을 맞고 성좌와 함께 신세타령을 하는 내용으로 된, 파계승 풍자의 중과장이다.

제6과장은 영감이 없는 할미와 아들의 곤궁한 생활상과 영감이 첩인 제대각시를 데리고 들어와서 가정불화가 생겨 가정집기를 부수다가 동토가 나서 죽는 처첩관계로 인한 가정비극을 표현한 할미·영감과장으로 되어 있다.

서구오광대에 사용하는 가면은 오방신장(五方神將) 5개, 문둥이 5개, 작은양반 2개, 제대각시 2개, 그리고 양반·말뚝이·사자(영노)·중·상좌·할미·마당쇠·옹생원·순사 등이 각각 1개인데, 양반탈·말뚝이탈·사자탈은 대소쿠리에, 문둥이탈은 바가지에 종이를 발라 만들고, 나머지 가면은 모두 흰 장판지에 그림을 그려서 만든 평면지가면(平面紙假面)이다.

소용되는 악기는 꽹과리·장구·북·징 등의 농악기이며 가락은 굿거리장단을 주로 친다. 춤은 이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주로 덧뵈기춤을 추는데, 등장인물의 성격에 따라 춤사위가 달라진다. 역대 기능보유자는 최태술(崔泰術)·강주섭(姜周燮)·강주삼(姜周三)·탁창현(卓昌鉉)·최용환(崔龍桓) 등이 있었다.

참고문헌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정상박, 집문당, 1986)
집필자
정상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