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옥기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내용 요약

「서옥기」는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무리를 이끌고 쌀 창고를 침범한 늙은 쥐가 무고한 84 종의 동식물을 끌어들여, 세 차례의 공방을 벌이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죄를 남에게 전가시키려 한다는 내용이다. 교활하고도 비굴한 인간들의 행동을 신랄하게 풍자한 송사형 우화소설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1책의 한문 필사본으로, 서류(鼠類)의 소송 사건을 다룬 동물 우화소설(寓話小說)이다. 한글본 「서동지전(鼠同知傳)」이나 한문본 「서대주전(鼠大州傳)」과는 별개의 작품이다.

내용

한 마리의 쥐가 그의 무리들을 이끌고 쌀 창고를 뚫고 들어가 배불리 먹고 지내다가 곳간을 지키는 신인 주1에게 발각되어 신병(神兵)에게 잡혀간다.

창신은 누가 여기에 쌀이 있다는 것을 가르쳐주었는지를 신문한다. 쥐는 쌀 창고 앞의 복숭아나무와 버드나무라고 대답하지만, 창신이 그들을 잡아 물어보니 그런 일이 없다고 한다. 창신이 다시 쥐를 신문하자, 이번에는 문신(門神)과 호신(戶神)이라고 하더니, 다시 고양이와 개라고 했다가, 다시 백호(白狐)와 반리(斑狸)라고 했다가, 토끼 · 사슴 · 염소 · 기린 등이라고 말을 바꾸며 거짓말을 한다. 그 뒤로도 쥐는 계속해서 주2 · 앵무 · 꾀꼬리 · 나비 · 박쥐 · 참새 등의 이름을 댄다.

이에 격분한 창신은 쥐를 기둥에 묶고 다섯 가지 형벌을 갖추어 처형하려 한다. 쥐는 마지막으로 한 번만 더 말할 기회를 줄 것을 호소하면서 여러 동물들의 간사함을 얘기하고는 자신의 무죄를 주장한다.

창신이 하늘에 올라가 상제께 소송 사건의 전모를 아뢰자, 상제는 쥐 도둑들의 목을 베어 거리에 버리고 다른 새와 짐승들은 놓아주도록 명령한다. 이에 창신은 쥐 도둑들을 베고, 쥐구멍을 파헤쳐 모두 죽였다. 그 뒤부터는 창고의 곡식이 소모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에서는 의인화된 쥐들의 소송 사건을 통하여 자기의 죄를 남에게 전가시키려는 교활하고도 비굴한 인간들의 행동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

늙은 쥐는 세 차례의 공방을 벌이며 84종의 무고한 동식물을 재판에 끌어들이고 있는데, 이때 작품의 초점은 재판의 지연이 아닌 흥미로운 공방 양상 그 자체에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양상은 「서옥기」가 다른 주3형 우화소설 작품들과 변별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까닭에 이 작품은 재판의 양상을 흥미로운 읽을거리로서 형상화하는 데 성공하였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의의가 있다.

이 작품은 무고 대상자들의 진술과 이에 대한 늙은 쥐의 반박으로 전개된다. 동식물의 진술이 인간적 통념과 편견에 기반하고 있다면 늙은 쥐의 반박은 상대주의적 세계관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작자가 늙은 쥐의 반박을 통해 인간적 통념과 편견을 부정하거나 재고하기를 촉구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늙은 쥐는 복숭아나무, 반딧불, 닭, 달팽이, 개미 등 여러 동식물이 각자의 본성에 따라 활동한 것이 범행을 실행하는 데 일조했다고 주장한다. 이는 겉으로 보면 전혀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여러 형상과 현상이 역학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역학적 세계관의 반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기공,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연구사, 1985)
정주동, 『고대소설론』(형설출판사, 1966)

논문

김광순, 「의인소설연구: 조선 의인소설의 성격을 중심으로」(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64)
김광순, 「한국 의인문학의 사적 계보와 성격」상·하(『어문학』 16·17, 한국어문학회, 1967)
김광순, 「서의 의인류소설의 상호관계」(『상산 이재수박사 환력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1972)
김광순, 「한국의인문학의 사적 계보와 성격」(『어문논총』 16,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2)
이상구, 「<서옥기>의 송사 성격과 작가의 세계관」(『고전과 해석』 35,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장시광, 「서옥기(鼠獄記)의 창작방식 연구」(『동양고전연구』 12, 동양고전학회, 1999)
장예준, 「송사형(訟事型) 우화소설의 한 가지 독법: <서옥기(鼠獄記)>의 재판 공방 양상과 향유 지점」(『동악어문학』 82, 동악어문학회, 2020)
주석
주1

곳간을 지키는 신.

주2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다. 우리말샘

주3

재판에 의하여 원고와 피고 사이의 권리나 의무 따위의 법률관계를 확정하여 줄 것을 법원에 요구함. 또는 그런 절차. 민사 소송, 형사 소송, 행정 소송, 선거 소송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형사 소송에서, 당사자ㆍ증인ㆍ감정인이 관계 사항을 구술 또는 서면으로 알리는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