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지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서용전(鼠勇傳) , 다람전, 서옹전(鼠翁傳)
내용 요약

「서동지전」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당나라 태종 때 큰 공을 세웠으면서 어질고 후덕한 성품을 지닌 서대주와 그의 은혜를 입고도 거짓으로 소송을 건 간악한 다람쥐의 모습을 통해, 당대의 사회적 현실을 풍자하고 배은망덕한 인간들에 대한 경계를 주제로 한 송사형 우화소설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1권 1책. 국문 활자본(活字本). ‘서용전(鼠勇傳)’ · ‘서옹전(鼠翁傳)’ · ‘다람전’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쥐들의 소송 사건을 소재로 한 의인소설(擬人小說)로, 주3의 유형을 띤 작품이다. 소재가 유사한 「서옥기(鼠獄記)」 · 「서대주전(鼠大州傳)」 등의 한문본과는 전혀 별개의 작품이다.

내용

중국 주4 땅 구궁산 토굴(土窟) 속에 서대주(鼠大州)라는 짐승이 살고 있었다. 당 태종이 금용성을 치려고 할 때, 서대주는 종족을 거느리고 금용성 창고에 양식으로 쌓아둔 쌀을 없애 버리는 큰 공을 세운다. 이 일로 서대주는 세민 황제로부터 벼슬을 제수(除授) 받고 잔치를 베풀어 여러 쥐를 초대한다.

이때 하도산에 다람쥐라는 짐승이 살고 있었는데, 다람쥐는 성품이 간악하고 집안 형편이 가난한 데도 게을러서 생활이 어려웠다. 다람쥐는 서대주가 잔치를 베푼다는 말을 듣고 서대주를 찾아간다. 다람쥐는 잔치가 끝난 뒤 서대주에게 자기의 딱한 사정을 호소하여 날밤[生栗]과 잣[栢子]을 얻어서 돌아온다. 다람쥐 부부는 그것으로 봄을 무사히 지냈으나, 겨울이 돌아오니 다시 굶는 신세가 된다. 다람쥐는 다시 서대주에게 가서 구걸하나, 서대주는 종족의 형편을 들어 거절한다.

이에 다람쥐는 원한을 품고 아내의 충고도 듣지 않은 채 곤륜산의 백호산군(白虎山君)에게 거짓으로 소송장을 올린다. 아내 다람쥐는 남편에게 소송을 걸어서는 안 된다고 힘껏 충고하다가, 도리어 남편으로부터 모욕을 당하고 분한 나머지 집을 나가고 만다.

백호산군은 서대주를 잡아 오게 하여 서대주의 말을 들어보고, 다람쥐가 서대주를 허위로 고발하였음을 알게 된다. 이에 주7은 허위로 서대주를 고발한 다람쥐를 유배 보내고, 서대주를 풀어 준다. 마음이 착한 서대주는 다람쥐를 불쌍히 여겨, 다람쥐도 함께 풀어 주길 산군에게 간청한다. 산군은 서대주의 어질고 후한 마음과 덕성에 감동하여 다람쥐를 풀어 준다. 이에 다람쥐는 자기의 배은망덕한 처사를 반성하고 서대주에게 사과한다. 서대주는 다람쥐를 불쌍히 여겨 황금을 주어 돌려보낸다.

의의와 평가

「서동지전」은 서대주에게 은혜를 입고도 배은망덕하게 서대주를 백호산군에게 허위로 소송한 간악한 다람쥐가 현명한 판관(判官)을 만나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줄거리를 통해, 인간사회에도 간악한 다람쥐와 같은 배은망덕한 인간이 있음을 경계하는 것을 주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사필귀정(事必歸正)과 권선징악의 교훈성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한편, 이 작품에 등장하는 쥐(서대주)는 종족이 멸할 수 있는 위기에 처했을 때, 강인한 생명력과 엄청난 결속력을 바탕으로 일정한 사회적 지위를 확보한다. 이로써 현실의 당면한 문제를 냉철하게 직시하여 강자에게 직언하고 약자를 포용할 수 있는 쥐는 당대의 시대상에 적합한 사회적 동물로서 위상을 갖춘다. 그러나 쥐는 부패한 송사(訟事) 제도를 바로잡아 사회적 규율을 세우는 당대의 절대적 정의를 실현할 만큼의 위상을 보여 주지는 못한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더불어 작품 내면에는 봉건적인 정치 · 윤리 · 경제 체제를 거부하고 새로운 인간상을 추구하려는 근대지향적 주제도 내포되어 있다. 특히, 오소리와 너구리 등에 의해 표현되는 현실비판은 당대의 정치적 현실이 지닌 모순에 대한 풍자이다.

또한, 다람쥐와 아내의 다툼은 가부장적 권위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 주고 있어 주목된다. 남존여비(男尊女卑) 사상이 투철했던 당시 윤리관으로 볼 때, 올바른 충고를 들어주지 않고 욕설을 퍼붓는 남편에 대한 아내의 항거는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아내 다람쥐가 남편을 버리고 집을 뛰쳐나오는 내용도 당시의 윤리관이나 인습(因習)의 관점으로 보면 과감한 저항으로 판단된다. 이는 부창부수(夫唱婦隨)와 여필종부(女必從夫)라는 봉건적인 사고방식과 도덕관에 대한 비판으로, 전통적인 윤리관을 타파하고자 하는 작자의 의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원전

「서동지전」(『구활자본 고전소설전집』 3, 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76)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연구』(교학사, 1983)
황재군, 「조선후기 의인체설화소설의 근대적 성향: 장끼전과 서동지전을 중심으로」(『근대문학의 형성과정』, 문학과 지성사, 1983)
김광순, 『한국 의인소설 연구』(새문사, 1987)

논문

김광순, 「한국 의인문학의 사적 계보와 성격」(『어문논총』 16,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982)
정규식, 「고전소설의 주인공 ; 고전소설 속 동물 주인공의 의미와 위상 -「김현감호(金現感虎)」, 「호질(虎叱)」, 「서동지전」을 중심으로-」(『古小說硏究』 33, 한국고소설학회, 2012)
주석
주3

인물과 사회의 결점, 모순, 불합리 따위를 풍자하는 소설. 우리말샘

주4

중국에서, 우(禹)의 구주(九州) 가운데 현재의 산시성(陝西省), 간쑤성(甘肅省), 칭하이성(靑海省)에 있던 행정 구역. 우리말샘

주6

추천의 절차를 밟지 않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내리던 일. 우리말샘

주7

‘호랑이’를 달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길로 돌아감. 우리말샘

주11

백성끼리 분쟁이 있을 때, 관부에 호소하여 판결을 구하던 일. 우리말샘

주12

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우리말샘

주14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 사이의 그런 도리. 우리말샘

주15

아내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