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문집 ()

목차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이신의가 지은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이지일(李志逸)이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이신의가 지은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1년에 이지일(李志逸)이 간행한 시문집.
개설

4권 2책. 목판본. 권두에는 윤봉구(尹鳳九)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는 송환기(宋煥箕)의 발문이 있다. 이어서 권1에 시 1수, 소(疏) 2편, 서(書) 43편, 잡저 2편, 제문 3편, 권2에 차록(차錄) 2편, 권3·4에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1801년(순조 1) 후손 지일(志逸)이 편집하고 간행하였으며, 현재 규장각도서·장서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 도서 등에 있다.

내용

소(疏) 중에서 「정사헌의(丁巳獻議)」는 1617년(광해군 9)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위하려는 움직임에 반대하여 올린 것이고, 「재이후응지봉사(災異後應旨封事)」는 형조참판에 재임할 때 재변(災變)에 대한 임금의 자문에 응하여 올린 것이다.

그리고 세도가의 농지 독점 및 국가재정의 저축 미비 등의 12조항에 걸친 국가정책의 허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비책을 제시하였다.

서(書)에는 유근(柳根)·심종도(沈宗道)·이유간(李惟侃)·정홍명(鄭弘溟)·김장생(金長生) 등을 포함한 다수의 주변인물들에게 보낸 편지와 별지(別紙) 및 김장생의 답서 등이 실려 있는데, 작가가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에 보낸 글이 주종을 이룬다.

잡저에는 자신의 가치관을 피력한 「자우해(自愚解)」가 있고, 차록에는 『대학』과 『가례』의 의문점에 대한 선현들의 학설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글이 실려 있다. 경학(經學) 및 예제(禮制)를 연구하는 데에 참고자료가 된다.

부록에는 저자가 괴산현감·해주목사 등에 재임하던 중에 임금이 그의 선정을 치하하여 내린 4편의 교서(敎書), 1628년 (인조 6)의 사제문(賜祭文), 송시열(宋時烈)·이이명(李頤命) 등이 지은 연보·신도비명(神道碑銘)·묘지명, 고양(高陽) 유생을 대표한 홍계적(洪啓迪)이 문봉서원(文峯書院)에 그를 제향할 것을 청원한 「고양장보추향문봉서원소(高陽章甫追享文峯書院疏)」, 그의 시장(諡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석탄문집(石灘文集)』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