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잠단지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선잠단지
서울 선잠단지
조선시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잠신(蠶神) 서릉씨를 배향하던 제단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있는 잠신(蠶神) 서릉씨를 배향하던 제단터.
내용

면적 528평.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역대 왕비가 누에를 길러 명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잠신으로 알려진 서릉씨를 배향하는 단(壇)을 쌓고 제사지내던 곳이다.

양잠(養蠶)의 기원은 상고시대부터 시작되었으나 선잠단을 쌓은 것은 고려시대부터 시작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왕비가 직접 누에를 치는 친잠례(親蠶禮)가 중요한 소임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특히 세종은 양잠을 크게 장려하였다.

이 단은 조선시대 1471년(성종 2)에 처음 쌓은 것이다. 단을 쌓은 방법은 사직단(社稷壇)과 같게 하였다. 하지만 선잠단 남쪽에 한 단(段) 낮은 댓돌을 두고, 그 앞쪽 끝에 뽕나무를 심은 차이가 있다. 이 뽕나무에서 뽕잎을 따서 궁궐내 잠실에서 키우는 누에에게 먹였다. 이러한 의식은 매년 3월에 거행하였다.

1908년 7월 선잠단의 신위는 선농단(先農壇)의 신위와 함께 사직단으로 옮겨졌다. 그뒤 이곳은 폐허화되었고 461평의 터전만 남게 되었다. 현재는 사적으로 지정하고 주변을 정리하여 보존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