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벽 ()

성벽 / 오장환
성벽 / 오장환
현대문학
문헌
풍림사에서 오장환의 시 「월향구천곡」 · 「여수」 · 「해항도」등을 수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풍림사에서 오장환의 시 「월향구천곡」 · 「여수」 · 「해항도」등을 수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 28면. 작자의 제1시집으로, 1937년 풍림사(風林社)에서 간행하였고, 그 뒤 1947년 아문각(雅文閣)에서 재판이 나왔다. 총 16편의 시를 2부로 나누어 싣고 있다.

내용

제1부에는 「월향구천곡(月香九天曲)」·「여수(旅愁)」·「해항도(海港圖)」·「매음부(賣淫婦)」·「병실(病室)」 등 14편, 제2부에는 「성씨보(姓氏譜)」·「해수(海獸)」 2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재판본에는 작자의 서문과 이봉구(李鳳九)의 후기(後記)가 첨가되어 있으며, 1부에 5편, 2부에 1편씩 더 추가되어 총 22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시집에 실린 작품들의 내용은, 감상(感傷)·분노·불안·퇴폐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유도 확실하지 않은 슬픔은 그가 본질적으로 낭만주의자임을 말해주는 것이고, 행동의 의지가 상실된 분노나 음습하고 우울한 퇴폐적 분위기는 비극적 현실에 능동적으로 대처해나가지 못하는 식민지 청년의 고뇌와 갈등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항구나 부두는 부초처럼 떠도는 뿌리 없는 삶의 표상이며, 그곳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오직 도박, 아편, 독한 술, 홍등녀(紅燈女) 등과 같은 일시적 위안이나 퇴폐뿐임을 토로하고 있다.

또한, 항구만큼이나 자주 등장하는 기녀·매음녀·홍등녀 등은 적극적인 삶을 체념하고 비극적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시적 자아의 등가물(等價物)임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여수」·「해항도」·「매음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슬픔이나 체념은 감상의 차원을 넘어서지 못하기 때문에 거기서 어떠한 삶의 비극적인 깊이를 발견하기는 어렵다.

표현에 있어서도 시적인 응축력이 부족한 점으로 보아 초기 작품들 중에는 노래할 사연은 많은데 노래할 방법은 아직 충분히 터득하지 못한 문학 청년의 습작기(習作期)의 시편들처럼 보이기도 한다.

참고문헌

『오장환연구』(김학동, 시문학사, 1990)
「오장환론」(구중서, 『시문학』, 1989.6)
「오장환씨의 시집 ‘성벽’을 읽고」(김기림, 『조선일보』, 1937.9.18)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