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문헌
풍림사에서 윤곤강의 시 「옛 성터에서」 · 「대지1·2」 · 「갈망」 · 등을 수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풍림사에서 윤곤강의 시 「옛 성터에서」 · 「대지1·2」 · 「갈망」 · 등을 수록하여 1937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6×6판 총 66면. 작자의 첫 번째 시집으로 1937년 4월풍림사(風林社)에서 홍순열(洪淳烈)을 발행인으로 하여 간행되었다. 서문(序文)도 발문(跋文)도 없이 총 23편의 시를 수록하고 있다.

내용

「갈망(渴望)」·「봄의 환상(幻想)」·「향수(鄕愁)1·2·3」·「일기초(日記抄)1·2」·「항가점경(港街點景)」·「동면(冬眠)」·「대지(大地)1·2」·「바다」·「광풍(狂風)」·「계절(季節)」·「창공(蒼空)」·「드을」·「애상(哀想)」·「가을의 송가(頌歌)」·「가두(街頭)에 흘린 시(詩)」·「광상(狂想)」·「고별(告別)1·2」·「삼부곡(三部曲)」 등의 시가 실려 있다.

이들은 모두 윤곤강의 시력(詩歷)으로 보아 1931년 11월호 『비판(批判)』지에 발표된 「옛 성터에서」로부터 비롯되는 「아츰」·「폭풍우(暴風雨)를 기다리는 마음」·「가을바람 불어올 때」 등과 함께 초기 시로서 일제치하의 황폐화된 현실과 그에 맞선 실천의지를 주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작자가 주장하고 있는 현실은 시인과 유착되지 못하고 추상적인 현실에 머물러 있다. 이는 그 현실이 경험적인 현실이 아니라, 관념이 생성한 추상적이고 도식화된 현실로 형상되었기 때문이다.

자연을 소재로 하고 있으면서도 당대의 암울한 현실을 환기한 「대지」는 시집의 제목으로 삼고 있듯이, 여기에 그 전체의 주제의식을 집약하고 있다. “악을 쓰며 달려드는 찬바람과 눈보라에 넋을 잃고/고○은 새우잠을 자는 대지(大地)……”라고 노래한 「대지1」이 보다 강렬한 이미지로 당대의 암울한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면, 「대지2」에서는 “어머니의 젖가슴 같은 흙의 자애(慈愛)!/삶을 탐내는 놈에겐 ‘생(生)의 봄’을 선사하고”와 같이 생성의 활기를 물씬 풍기게 하는 봄의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게 한다.

의의와 평가

윤곤강의 초기 시, 곧 『대지』의 시편들은 한마디로 당대의 암울한 현실과 그것의 극복의지로 표상되는 ‘봄’의 이미지조차도 상식선에 머무른 감이 없지 않다.

참고문헌

『근대시인연구』(조용훈, 새문사, 1995)
「윤곤강연구(尹崑崗硏究)」(허시강, 『호서문학』12, 1986)
「곤강(崑崗) 윤붕원론(尹朋遠論)」(문정숙, 『북천심여탁선생회갑기념논총』, 형설출판사, 1982)
집필자
김학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