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고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박광생의 서(書) · 만사 · 문목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박광생의 서(書) · 만사 · 문목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모두 없어 필사 연대는 미상이다.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제문·서(書)·만(輓) 각 1편과 그의 선친 상고(喪故)시의 만사 약 20편, 문목(問目) 4편, 기(記) 2편, 행적(行蹟) 1편, 시가(詩歌) 2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문은 숙부 학암공(鶴巖公)에 대한 것이며, 서(書)는 정구(鄭逑)에게 상례(喪禮)를 질문한 품목(稟目)으로 답문(答文)이 첨부되어 있다.

만의 「만한강정선생(輓寒岡鄭先生)」은 스승 정구의 죽음을 애도한 글이다. 만사에는 곽재우(郭再祐)·정구·김수항(金壽恒)·김성진(金聲振) 등 당시 명사들에 의해 씌어진 것이 많다. 문목은 스승인 정구·정인홍(鄭仁弘)에게 예설(禮說)에 관해 질문한 것들이다.

기는 1588년부터 1623년까지 36년간에 걸쳐 각 해에 있었던 중요한 일들을 기록한 것이다. 그밖에 박언신(朴彦伸)에 대한 「이우헌기(二憂軒記)」가 있다. 시가 가운데 「항해가(航海歌)」는 그의 문학적 취미와 조예 등을 짐작하게 하는 작품이다.

집필자
이명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