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악부 ()

목차
관련 정보
경수당전고(권49) / 소악부
경수당전고(권49) / 소악부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신위(申緯)가 지은 악부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신위(申緯)가 지은 악부시.
개설

칠언절구 40수로 이루어졌으며, 『경수당전고(警修堂全藁)』 권49에 수록되어 있다. 신위의 「소악부」는 작자가 평소에 기억하고 있던 시조를 한역한 것으로서, 시조가 일시적으로 가창되다가 인멸될 것을 우려하여 후대에 길이 보존할 목적으로 시도한 것이라 한다.

이 작품은 일시에 제작된 것이 아니고, 작자가 강화유수 재임기간인 1828년(순조 28) 9월에서 1830년 7월까지 6수를 지었고, 그 뒤 자하산장에 은거하고 있던 1831년 6월까지 34수를 지어, 이것을 모두 정리하여 40수를 완성하고 자서를 쓴 것으로 판단된다.

내용

시조를 한역하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는데, 여기에서는 다섯 가지 정도의 방법을 사용하여 한역한 것으로 보인다. 첫째는 초장을 기구에 배당하는 경우, 둘째는 종장을 전구·결구에 배당하는 경우, 셋째는 시조의 1장을 생략하는 경우, 넷째는 시조 3장과 한시 3구 외에 한시 1구를 첨가하는 경우, 다섯째는 환골탈태하는 경우이다.

수록작품 가운데에 작자를 알 수 있는 것은 24수이다. 명옥(明玉)·매화(梅花)·이개(李塏)·이조년(李兆年)·이유(李柔)·이명한(李明漢)·윤선도(尹善道)·유자신(柳自新)·송인(宋寅)·기대승(奇大升)·장만(張晩)·이정(李鼎)·한호(韓濩)·황진이(黃眞伊)·서익(徐益)·박인로(朴仁老)·조경렴(趙慶濂)·이정신(李廷藎)·정온(鄭蘊)·김상용(金尙容)의 순으로 20인의 작품을 실었다. 황진이의 작품이 3수, 이명한과 윤선도의 작품이 각각 2수씩 수록되었다. 그리고 작자 미상이 16수인데, 이 중에서 출전조차 확인되지 않는 것이 2수이다.

이 작품은 이유원(李裕元)의 「가오소악부(嘉梧小樂府)」를 짓게 한 동기가 되었으며, 후대의 사대부들에게 많이 애송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제현이 처음 ‘소악부’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는데, 그 이후 신위의 이 작품에서 다시 이 이름이 쓰이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악부가 번창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문학작품의 의의에 대한 자각과 그 표현으로 의식을 형상화한 것이며, 또한 시문의 보완을 위한 작품으로서 출현하게 된 것이다.

참고문헌

「신자하소악부연구(申紫霞小樂府硏究)」(손팔주, 『부산여자대학교논문집』6, 1978)
「자하한시연구서설(紫霞漢詩硏究序說)」(정원표,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7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