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어고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심양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심양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05년 심양수의 아들 심상룡(沈相龍)이 편집하였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서지적 사항

4권 3책. 필사본.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446수, 권3에 서(書) 23편, 서(序) 4편, 기(記) 1편, 발(跋) 2편, 제문 5편, 축문 1편, 권4에 부록으로 행장·행록 각 1편과 제문 8편, 만사 41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에는 128승 고적에 대한 산수서경시가 있는데, 「서응순김광유동상금강산(徐應淳金光有同賞金剛山)」을 비롯해 「칠월기망범경포(七月旣望泛鏡浦)」·「구룡연(九龍淵)」·「옥류동(玉流洞)」·「낙산사(洛山寺)」·「관음굴(觀音窟)」·「등단양이요정(登丹陽二樂亭)」 등이다. 시어가 자연스럽고 서정성이 두드러진다.

「동정추월(洞庭秋月)」·「소상야우(瀟湘夜雨)」·「연사모종(烟寺暮鍾)」·「어촌낙일(漁村落日)」 등은 중국 당대(唐代)의 시풍을 연상시킨다. 「만음(漫吟)」 11수는 은일적 기분으로 자연과 교유하는 즐거움을 표현한 것이다.

서(書)에는 윤종의(尹宗儀)·김병익(金炳翊)·서응순(徐應淳)·어윤중(魚允中)·서상우(徐相雨)·민영우(閔泳愚) 등 당대 명사들과 교환한 서찰이 많다. 서(序)는 친우들과 헤어지면서 석별의 정을 표현한 송서(送序)가 대부분이다. 발에는 「서이부백구폐절목후(書李府伯救弊節目後)」가 있는데, 국가의 치술(治術)과 시폐(時弊)를 구제하는 방책에 관해 자신의 소견을 피력한 내용이 들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