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계만록 ()

구비문학
문헌
조선 전기 서얼 출신 문인 권응인이 지은 시화집 · 일화집.
문헌/고서
저자
권응인(權應仁)
편자
김여
권책수
2권
권수제
송계만록
판본
한문 필사본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요약

『송계만록』은 조선 전기 서얼 출신 문인 권응인이 지은 시화집이자 일화집이다. 고금 명문장들의 시 작품 및 그와 관련한 시화를 수록하고 있다. 상하 2권으로 상권에는 주로 시 작품 및 시화, 하권에는 여러 가지 일화 및 소화가 수록되어 있다. 18세기 이후에 간행된 다수의 야사 총서에 수록되어 널리 알려진 것으로 보인다. 16세기 필기집들이 주로 단순 골계담 위주로 구성되어 있던 것과 달리, 이 책은 시화 및 시 비평을 중심으로 구성됨으로써 후대에 시화 중심의 필기집이 창작되는 데에 영향을 주었다.

정의
조선 전기 서얼 출신 문인 권응인이 지은 시화집 · 일화집.
저자

권응인(權應仁)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원(士元), 호는 송계(松溪)로, 수암(水庵) 권희맹(權希孟)의 서자(庶子)이다. 호음(湖陰) 정사룡(鄭士龍), 심수경(沈守慶), 신잠(申潛), 이해수(李海壽) 외에 수많은 문인(文人)과 활발하게 시를 주1하였다. 주5이라는 말직(末職)이었으나 문장력으로 인정받아 일본과 중국 사신을 영접(迎接)하는 일에 여러 번 참여하였고 중국에는 7차례, 일본에는 3차례 왕래(往來)하였다고 기록되었다. 또한 1542년에 형 권응창(權應昌)을 따라 중국에 가서 절강의 인사(人士)들과 주9하고 무령현(撫寧縣)의 벽에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 이황(李滉)의 제자로 시문(詩文)에 능하여 당시에 그를 상대할 이가 드물 정도였으나, 출신이 서자였던 관계로 변변한 벼슬에도 오르지 못한 채 불우(不遇)한 생애를 마쳤다.

서지사항 및 이본 현황

상 · 하 2권. 필사본. 18세기 야사(野史) 총서(叢書)에 수록되기 시작하여 1730년대 편찬된 『청구패설(靑丘稗說)』, 필사본(筆寫本) 『대동야승(大東野乘)』, 19세기 김려(金鑢)의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 심노숭(沈魯崇)의 주15, 주16 등에 수록되었고, 이긍익(李肯翊)『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별집(別集) 야사목(野史目)에도 수록되어 있다.

현재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는 것은 『대동야승』 본으로, 『대동야승』 권56에 수록되어 있다. 『한고관외사』 본은 가장 많은 이야기를 수록하고 있으며 편자(編者)의 주석(註釋)을 통해 내용의 이해를 돕고 있다. 홍만종(洪萬宗)이 편찬한 『시화총림(詩話叢林)』 하권에 수록된 것은 분권(分卷)되어 있지 않으며, 2권본의 상권에 해당하는 부분이 주20되어 있다. 그 밖에 『패림』, 주21, 주22 등의 총서에도 수록되어 있으나, 이 중 『광사』 본은 동경 대지진 때 소실되었다. 이외 19세기 간행(刊行)된 저자의 문집(文集) 『송계집(松溪集)』에도 일부 포함되었는데, 다른 본과 달리 동일 인물이나 주제에 관한 기사를 모으는 등 정연된 모습을 보인다.

편찬 및 간행 경위

확실한 저작 연대는 알려지지 않으나, 이 책 하권의 기록 가운데 주24 이후 재상으로 큰 복을 누려 높은 벼슬에 오른 사람은 얼마 되지 않는다. 재상 송흠(宋欽)은 나이 90여 세에 벼슬이 1품에 이르고 …… 재상 홍섬(洪暹)은 82세에 벼슬이 주25에 이르고, 재상 원혼(元混)은 89세에 벼슬이 1품에 이르러 아직도 병 없이 지낸다. (원 재상(元宰相)은 나이 92세에 죽었다.)”라는 구절(句節)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원혼이 89세이면 1585년이니 이때 이 책을 지었을 것이며, 원 재상이 92세에 죽었다는 주석을 저자 자신이 한 것이라면 1588년 이후에 완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 대하여 심수경(沈守慶)『견한잡록(遣閑雜錄)』 자발(自跋)에는 주26 문인(文人)들이 저술한 주27가 그중에는 간행하지 않은 것도 또한 많다. 오래되면 모두 없어질 것을 두려워하여 여기 적어 주28에 이바지하게 한다.”라고 하였다.

구성과 내용

상 · 하 2권으로 구성된다. 상권의 77화 중 3화의 일화(逸話)를 제외하고 모두 고금 명문장(名文章)들의 시화(詩話)이다. 하권은 총 63화로 상권에 비해 내용이 다양한데 그중 변증문(辨證文)과 일화, 소화(笑話)가 다수 포함되었다. 『대동야승』 본과 『시화총림』 본의 처음에 실려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은 문장으로 이름이 나, 남곤(南袞)이 ‘ 박은(朴誾)의 시와 김일손의 문장이 제일’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세상에 전하는 김일손의 문집에는 시가 매우 드물다는 점을 지적하며, 삼가현(三嘉縣)의 관수루(觀水樓)에 전하는 주29 한 편을 소개하고 있다. 이어 함자예(咸子乂)의 「촉석루시(矗石樓詩)」, 어떤 부인의 「부여회고시(扶餘懷古詩)」 등이 차례로 소개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송계만록』의 작자인 권응인은 문장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서얼이라는 신분적 한계로 말직(末職)에 머물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계만록』에는 현실을 비관하거나 비판한 내용보다, 시문(詩文)과 관련한 일화와 비평문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또 이 책은 16세기 초 주30 잡록(雜錄)이 유행했던 상황에서 단순한 소화가 아닌 시화가 중심이 된 필기집으로, 전대의 잡록류를 계승하면서 16세기 후반의 필기를 함께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권응인, 『송계집(松溪集)』(도암서원, 1809)
前間恭作, 『고선책보(古鮮冊譜)』 2(東洋文庫, 1944∼1957)
『대동야승(大東野乘)』(경희출판사, 1968)
『패림(稗林)』(탐구당, 1969)
김려, 『한고관외사(寒皐觀外史)』(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논문

강구율, 「송계 권응인의 생애와 시세계 및 그 특징」(『국학연구』 37, 한국국학진흥원, 2018)
곽미라, 「16세기 筆記를 통해 본 중인층 지식인의 내면과 타자인식」(『고전문학연구』 57, 한국고전문학회, 2020)
문정우, 「『송계만록』의 이본과 그 자료적 가치」(『영주어문』 20, 영주어문학회, 2010)
손재수, 「송계 권응인의 생애와 비평의식」(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이명숙, 「권응인의 시론과 비평의식」(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주석
주1

시가(詩歌)를 서로 주고받으며 부름. 우리말샘

주2

본이름 외에 부르는 이름. 예전에, 이름을 소중히 여겨 함부로 부르지 않았던 관습이 있어서 흔히 관례(冠禮) 뒤에 본이름 대신으로 불렀다. 우리말샘

주3

본명이나 자 이외에 쓰는 이름. 허물없이 쓰기 위하여 지은 이름이다. 우리말샘

주4

양반과 양민 여성 사이에서 낳은 아들.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에, 사역원 소속으로 중국어와 이문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벼슬. 우리말샘

주6

맨 끝자리의 벼슬이나 직위. 우리말샘

주7

손님을 맞아서 대접하는 일. 우리말샘

주8

가고 오고 함. 우리말샘

주9

서로 사귀어 놀거나 왕래함. 우리말샘

주10

시가와 산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재능이나 포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를 만나지 못하여 출세를 못함. 우리말샘

주13

일정한 형식과 체재로, 계속해서 출판되어 한 질을 이루는 책들. 우리말샘

주14

손으로 써서 만든 책. 우리말샘

주15

조선 시대 야사(野史)의 총서. 유서(類書)인 ≪대동야승≫과 20종이 겹쳐 있으며, 정사(正史)를 보충하는 사료로 중요하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66권 10책. 우리말샘

주16

조선 시대 야사(野史)의 총서. 유서(類書)인 ≪대동야승≫과 20종이 겹쳐 있으며, 정사(正史)를 보충하는 사료로 중요하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66권 10책. 우리말샘

주17

서책을 내용에 따라 분류할 때에, 개인의 시문집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8

책을 편찬하거나 편집한 사람. 우리말샘

주19

낱말이나 문장의 뜻을 쉽게 풀이함. 또는 그런 글. 우리말샘

주20

필요한 부분만을 뽑아서 적음. 또는 그런 기록. 우리말샘

주21

조선 중기 선조 때부터 영조 때에 이르기까지 역사학자들의 수필, 만록(漫錄), 야사 따위를 모아 엮은 책. 30권 30책. 우리말샘

주22

조선 시대의 학자 김려(金鑢)가 편찬한 야사(野史) 전집. ≪창가루외사(倉可樓外史)≫를 교정하고 필사하여 책 이름을 바꾼 것이다. 468권 200책. 우리말샘

주23

시나 문장을 모아 엮은 책. 우리말샘

주24

조선 제11대 왕(1488~1544). 이름은 역(懌). 자는 낙천(樂天). 혁신 정치를 꾀하다가 훈구파의 반대로 실패하고 기묘사화를 불러일으켰다. 재위 기간은 1506~1544년이다. 우리말샘

주25

고려 시대에,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의 세 벼슬을 통틀어 이르던 말. 삼사(三師)와 함께 임금의 고문 구실을 하는 국가 최고의 명예직으로 초기에 두었다가 공민왕 때에 없앴다. 우리말샘

주26

예전과 지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7

여러 가지 일을 질서 없이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우리말샘

주28

살펴서 생각함. 우리말샘

주29

여덟 구로 되어 있는 한시체(漢詩體). 한 구가 다섯 자로 되어 있는 것을 오언 율시라고 하고, 일곱 자로 되어 있는 것을 칠언 율시라고 한다. 우리말샘

주30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일. 우리말샘

주31

맨 끝자리의 벼슬이나 직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