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송광사 하사당 (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하사당 정면
순천 송광사 하사당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순천 송광사 하사당(順天 松廣寺 下舍堂)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당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남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 송광사 (신평리) / (지번)전남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송광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에 있는 조선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단층건물로 지붕은 맞배지붕이다.주로 선실(禪室)로 사용되었지만, 조선 말기에는 수선사(修禪社)에서 정진하는 선객(禪客)들이 공양하는 곳이나 응진전(應眞殿)의 일을 맡은 임원들이 묵는 노전(爐殿)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한다.

남쪽을 향해 자리한 건물의 왼쪽 2칸은 온돌방이고, 오른쪽 1칸은 부엌이다. 온돌방에는 앞쪽에 툇마루가 놓여 있고 천장은 종이천장이지만, 부엌은 서까래가 드러나 있는 연등천장이어서 지붕 밑의 가구(架構)가 모두 보인다. 곧 대들보는 툇마루와 방 사이에 세운 고주(高柱)에서 뒷면의 평주(平柱)에 걸쳐 통보[通樑]로 걸렸으며, 그 위에는 한쪽에 짧은 기둥인 동자주(童子柱)를 세워 고주와 함께 종보[宗樑]를 받치게 하였다. 건물의 옆면에는 고주 2개를 세워서 종보를 받치도록 한 다음, 종보 위에 화반(花盤) 모양의 대공(臺工)을 얹어서 마루도리를 받치고 있다. 고주에서 평주에 이르는 툇마루 윗부분에는 퇴보[退樑]가 걸려 있다.

공포(栱包)는 기둥 위에만 놓였는데, 제일 아래로 기둥 머리에 꽂힌 첨차(檐遮)부터 짜올라갔으며, 외목(外目)도리를 받친 행공(行工)첨차 외에는 좌우로 짜올리지 않았다. 건물 안의 살미첨차는 위아래의 것이 합쳐져 보를 보강하는 짧은 부재인 보아지[樑奉]로 되었는데, 옆면에는 덩굴 무늬[唐草文]가 조각되었다. 이러한 공포의 구조는 조선 초기에 건립된 주심포(柱心包)계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양식이지만, 기둥 머리에 꽂힌 첨차의 모습은 경내에 자리한 국사전(國師殿)의 첨차처럼 이미 변형된 상태이다.

부엌칸의 지붕 위에는 조그마한 맞배지붕을 올린 네모난 환기 구멍이 나 있는데, 다른 건물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특별한 시설이자 요사(寮舍)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송광사』(강건기 외, 대원사, 2003)
『국보』-사원건축-(신영훈 편, 예경산업사, 1983)
『송광사』-한국의 사찰 6-(한국불교연구원 편, 일지사,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