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진궁 ()

조선시대사
유적
조선시대 한성 중부 수진방에 자리하면서, 후사가 없이 죽은 왕의 자녀 및 후궁 등의 제사를 관리하던 궁가.
이칭
이칭
수진본궁(壽進本宮) , 신본궁(新本宮)
유적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중종
소재지
한성부 중부 수진방(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51번지 일대)
내용 요약

수진궁은 조선시대 한성 중부 수진방에 자리하면서, 후사가 없이 죽은 왕의 자녀 및 후궁 등의 제사를 관리하던 궁가이다. 예종의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의 궁가였다가 중종의 본궁이 되면서 수진궁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복구된 뒤 숙종비인 명성왕후의 명으로 후사 없는 왕의 자녀 및 후궁의 사판에 대한 시향과 묘제를 전담하기 시작했다. 1909년(융희 3)에 폐지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한성 중부 수진방에 자리하면서, 후사가 없이 죽은 왕의 자녀 및 후궁 등의 제사를 관리하던 궁가.
건립경위

수진궁(壽進宮)은 조선시대 후사가 없이 죽은 왕의 자녀 및 후궁 등의 제사를 관리하던 제사궁(祭祀宮)이다. 자리한 곳의 조선시대 행정구역은 한성부 중부 수진방으로, 예종의 둘째 아들인 제안대군의 궁가였다가 중종의 본궁이 되면서 수진궁이라는 칭호를 얻었다.

변천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복구된 뒤 숙종비인 명성왕후의 명으로 후사 없는 대군 · 왕자 · 공주 · 옹주 · 후궁 등의 주1에 대한 주2주3를 전담하게 되었다. 수진궁은 주4, 주5, 주6, 주7과 더불어 중요하게 관리되던 궁가였다.

1907년(융희 1)에 궁내부령(宮內府令)에 의하여 궁의 업무를 담당하던 도장을 없애고 제실 재산 정리국 관제(帝室財産整理局官制)에 의하여 모든 재산이 제실 관리국으로 넘어가면서 1909년(융희 3)에 폐지되었다.

의의 및 평가

수진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51번지 일대에 자리했던 궁가로 건물의 배치는 규장각 도서인 『가사(家舍)에 관한 조복문서(照覆文書)』 중 「수진궁급용동궁건물부속토지조사보고(壽進宮及龍洞宮建物附屬土地調査報告)」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수집궁급용동궁건물부속토지조사보고(壽進宮及龍洞宮建物附屬土地調査報告)」(『가사(家舍)에 관한 조복문서(照覆文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한경지략(漢京識略)』

단행본

『동명연혁고(洞名沿革攷)』Ⅰ(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7)
『서울특별시사(特別市史)-고적편(古蹟篇)-』(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논문

조영준, 「조선후기 궁방의 실체」(『정신문화연구』 제31권 제3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8)
정정남, 「조선시대 수진궁의 기능과 주변 박석길의 의미 해석」(한국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11.11)
주석
주1

죽은 사람의 위패. 대개 밤나무로 만드는데, 길이는 여덟 치, 폭은 두 치가량이고,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지게 생겼다.    우리말샘

주2

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집안의 사당에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3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왕실 재정의 관리를 맡아보던 관아. 궁중에서 쓰는 쌀, 베, 잡물(雜物), 노비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는데, 세조 12년(1466)에 내수소의 격(格)을 올려 이 이름으로 하였다.    우리말샘

주5

조선 명종의 맏아들 순회 세자(順懷世子)의 궁. 칠궁(七宮)의 하나로, 처음에는 덕수궁 한쪽에 있었으나 뒤에 종로구 수송동 옛 숙명 여고 자리로 옮겼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인조의 사저(私邸). 칠궁의 하나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에 있었다.    우리말샘

주7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 본래는 행궁(行宮)이었으나 선조 26년(1593)에 의주에서 환도한 후 보수하여 궁궐로 삼았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중화전, 함녕전, 석조전 등이며 정문으로 대한문이 있다. 칠궁의 하나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덕수궁’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정정남(㈜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