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상엿집과 관련 문서 ( 집과 )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산시 무학로 62길 산 162에 자리한 상엿집과 건립 전후 시기에 운영된 상여계와 관련된 문서.
유적/건물
건축 양식
3량가 홑처마|목조와가
건립 시기
1891년
규모
정면 3칸|측면 1칸
소재지
경상북도 경산시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재(2010년 08월 30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경산시 무학로62길 산162-0 (하양읍)
내용 요약

경산 상엿집과 관련문서는 경상북도 경산시 무학로 62길 산 162에 자리한 상엿집과 건립 전후 시기에 운영된 상여계와 관련된 문서이다. 상엿집은 상여를 보관하는 공간과 부속품 등을 두는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었고, 세 칸 규모의 판벽과 우물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에는 전통 상여, 장례에 쓰던 각종 제구, 상여 제작 · 운반 등과 관련된 비용 기록 문서들이 함께 발견되어 상여문화 전체를 한 곳에서 종합적으로 볼 수 있다.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 무학로 62길 산 162에 자리한 상엿집과 건립 전후 시기에 운영된 상여계와 관련된 문서.
건립 경위

경산 상엿집의 건립 시기는 “상지이십년신묘이월십구일사시입주이십오일오시 상량(上之二十年辛卯二月十九日巳時立柱二十五日五時 上梁)”이라는 상량문을 통해 1891년(고종 28)에 건립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변천

경산의 상엿집은 원래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1533번지에 있던 건물로 철거될 위기에 처하자, 2009년 3월 15일 조원경이 매입하여 본인 소유의 땅인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 산 144-10번지로 옮겨 지은 것이다.

형태와 특징

경산 상엿집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으로 용마루와 내림마루의 선이 아름답고 화려하며, 위엄을 갖춘 누각의 형태를 원형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건물 내부는 상여를 보관하는 공간과 부속품 등을 두는 2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었다. 일반 상엿집이 흙벽과 평지 바닥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경산 상엿집은 세 칸 규모의 판벽과 우물마루로 구성되어 있다.

상엿집의 내부에서는 전통 상여 2습, 장례에 쓰던 각종 제구와 함께 1891년 상엿집 건립 전후 시기의 상여계 운영에 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 문서와 마을 공동체의 풍속, 촌락의 사회경제 활동 등 당시 마을공동체의 현황을 엿볼 수 있는 동중문서(洞中文書)들이 함께 발견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일반 상엿집이 흙벽과 평지 바닥으로 되어 있는데 비하여 경산 상엿집은 세 칸 규모의 판벽과 우물마루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건축학적인 가치가 있다.

상엿집의 내부에서 상여 관련 비용기록 문서 및 마을 공동체의 촌계(村契) 문서들이 함께 발견되어 상여문화 전체를 한 곳에서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됨에 따라 민속학적 · 학술적 가치 등이 더해졌다. 2010년 8월 30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지나간 시간을 읽다-민속문화재, 이야기를 입다』(문화재청, 2017)

기타 자료

「경산 상엿집과 관련문서」(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 고시문, 2010. 3. 3.)
집필자
정정남(㈜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