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주 오봉리 고인돌 ( 고인돌)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오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기반식과 개석식 고인돌.
이칭
이칭
순천 오봉리 지석묘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중후기
재질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내용 요약

승주(昇州) 오봉리(梧峯里) 고인돌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오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기반식과 개석식 고인돌이다. 3개 군집 40여 기의 고인돌이 발굴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하부구조는 훼손이 심하고 유물도 빈약한 편이다. 고인돌의 형식은 기반식과 개석식이 혼재한다. 돌덧널형 매장 주체부가 주를 이루며, 간돌칼 등 출토 유물로 보면 청동기시대 중후기에 해당한다.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오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기반식과 개석식 고인돌.
발굴경위 및 결과

1985년 주암댐 수몰지구에 대한 지표 조사 중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오봉리에서 80여 기의 고인돌(8개 지구)이 발견되었다. 이 가운데 3개 군집 40여 기가 발굴 조사되었다. 이 고인돌들은 보성강변의 평지나 강에 인접한 산기슭에 자리한다. 이 고인돌 가운데 ‘다’, ‘라’, ‘아’ 고인돌군이 각기 전북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에 의하여 1986년 발굴 조사되었다.

형태와 특징

‘다’군 고인돌은 강변 산기슭 사면부에 위치한다. 14기가 조사되어 돌덧널형 4기만 확인되었고, 상석 없는 돌덧널 1기를 포함하여 모두 5기의 매장 주체부가 조사되었다. 14기 중 굄돌이 있는 것은 6기이다. 유물은 1호에서 주1 1점, 3호에서 자루간돌칼 1점, 그 외 화살촉, 주2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라’군 고인돌은 원래 강변 산기슭 사면에 강 방향으로 3열을 이루면서 30여 기가 분포하고 있었지만, 16기만 발굴 조사되었다. 16기 중 6기가 굄돌이 있었으며, 돌덧널형 매장 주체부가 12기로 주를 이루며 널형도 2기이다. 유물은 슴베있는간돌칼 1점, 자루간돌칼 1점, 돌화살촉 3점, 돌도끼 1점, 대팻날 1점 등의 석기류와 민무늬토기 조각, 주3 1점(완형) 등이 출토되었다.

‘아’군 고인돌은 강변 평지에 10여 기가 있었지만, 양호한 5기만 발굴 조사되었다. 매장 주체부는 1기도 없었으며, 유물은 약간의 민무늬토기와 주변에서 수습된 돌도끼 1점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승주 오봉리 고인돌은 보성강변에 자리하며 기반식(남방식)과 개석식(蓋石式)이 혼재한다. 돌덧널형 매장 주체부가 주류를 이루는데, 주4이 여러 점 출토되었지만 유물은 빈약한 편이다. 연대를 파악할 수 있는 명확한 자료는 드물지만, 청동기시대 중후기 단계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기타 자료

「오봉리 다군 지석묘」(『주암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 전북대학교, 1987)
「오봉리 라군 지석묘」(『주암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 고려대학교, 1987)
「오봉리 아군 지석묘」(『주암댐수몰지역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Ⅰ』, 서울대학교, 1987)
주석
주1

구멍을 뚫은 짧은 대롱 모양의 구슬. 구슬 가운데 가장 먼저 발생한 형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주로 목걸이에 썼다.    우리말샘

주2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우리말샘

주3

그릇의 겉에 붉은 칠을 바르고 문질러 닦아서 붉고 반들반들하게 만든 토기(土器). 신석기 시대 및 청동기 시대의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4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표적인 석기 유물. 청동검이 보급되기 이전에 사용된 근거리 무기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그 명확한 용도는 아직 명료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