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천하는 청춘 (하는 )

승천하는 청춘 / 김동환
승천하는 청춘 / 김동환
현대문학
문헌
시문학사에서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 1편을 수록하여 1925년에 간행한 시집.
정의
시문학사에서 김동환의 장편 서사시 1편을 수록하여 1925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A6판. 180면. 작자의 제2시집으로 1925년 시문학사에서 간행하였다. 근대 초유의 서사시인 「국경의 밤」에 뒤이어 9개월 후에 발간되었다.

전 7부 61절로 짜여진 이 두 번째 서사시집으로 인해 김동환은 신문학사상 독보적인 서사시인으로서 위치를 확고히 하게 된다. 시집 『승천하는 청춘』은 시집 전체가 한 편의 서사시로만 엮어져 당대 식민지 현실의 불모성을 묘사하고 있다.

내용

이 서사시는 사회 역사적 대응력을 획득하려는 의도로 쓰여졌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시집의 배경은 시구문 밖 공동묘지로부터 시작되어 일본의 습지야이재민수용소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고국으로 돌아오는 모습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공동묘지와 수용소라는 배경 설정은 그 자체가 당대 조선의 비극적 현실을 은유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서사시의 줄거리는 시구문 밖 공동묘지를 헤매며 어린아이의 무덤을 찾는 한 여인의 모습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어서 일본의 수용소로 옮겨지는데 여기에 폐병 3기인 한 청년과 그의 누이동생이 등장하고, 그녀가 사랑하는 한 청년이 제시된다. 병든 오빠는 끝내 온갖 절망에 휩싸여 죽어가고, 연인마저도 공산주의운동과 연루되어 체포되어가고 만다.

유학도 포기하고 오빠의 유골을 안고 돌아온 여인은 고향에서 다른 사람을 만나 재혼하지만 결혼한 지 넉 달 만에 아기를 낳음으로써 파경에 이른다. 다시 서울로 온 여인은 곤궁하게 살며 아기를 낳아 기르다가 이전 애인을 만나게 된다. 그러나 아이가 죽자, 두 사람이 세상의 온갖 허위와 모순을 개탄하면서 함께 투신자살하는 결말로 맺어진다.

의의와 평가

이상도 모두 좌절된 채 절망과 고통 속에 살다가 죽어가는 청춘남녀의 비극을 통해 당대 일제강점하의 민족 모순과 민중 비극을 형상화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국경의 밤」에서보다 비관적 현실이 더욱 심화되고 저항의식이 예각화된 서사시로서 당대 현실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김동환론」(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