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팔번뇌 ()

백팔번뇌 / 최남선
백팔번뇌 / 최남선
현대문학
문헌
동광사에서 최남선의 시조 108수를 수록하여 1926년에 간행한 시조집. 창작시조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동광사에서 최남선의 시조 108수를 수록하여 1926년에 간행한 시조집. 창작시조집.
개설

A6판. 154면. 1926년 동광사(東光社)에서 간행되었다. 작자의 서문과 ‘제어(題語)’라는 표제하에 박한영(朴漢永)·홍명희(洪命熹)·이광수(李光洙)·정인보(鄭寅普)의 발문이 붙어 있고, 총 108수의 시조가 3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구성

제1부 ‘동청나무 그늘’에는 「궁거워」·「안겨서」·「떠나서」·「어쩔까」의 4개의 제목 아래 각각 9수씩 모두 36수가 실려 있고, 제2부 ‘구름 지난 자리’에는 「단군굴에서」·「석굴암에서」·「만월대에서」·「천왕봉에서」 등 12개의 제목 아래 각 3수씩 모두 36수, 제3부 역시 「동산에서」·「새봄」·「새잔듸」·「봄길」 등 12개의 제목 아래 각 3수씩 36수가 실려 있다.

내용

1부는 임에 대한 애끊는 심정을, 2부는 국토순례에서의 감회를, 3부는 ‘안두삼척(案頭三尺)’에 자기 자신을 잊고자 하는 심정을 노래하였다.

작자는 서문에서 “시조를 한문자 유희의 구렁에서 건져내어 엄숙한 사상의 일 용기(一容器)를 만들어 보려고 애썼다.”라고 밝히면서 시조에 대한 자신의 주견(主見)을 피력하였다.

의의

이 시조집은 근대 최초의 개인 창작시조집으로서 현대시조의 선도적 구실을 하였다는 데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육당의 시-백팔번뇌를 중심으로-」(김팔봉, 『현대문학』, 1960.10.)
「백팔번뇌를 읽고 나서」(변영로, 『동아일보』, 1926.12.1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