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점등 ()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학자 이규경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시인과 작품을 수록한 시화집.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규경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시인과 작품을 수록한 시화집.
서지적 사항

11권 1책(속집 1권 포함). 필사본. 저술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권1의 끝에 ‘庚戌南至月(경술남지월)’이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권2의 끝에 ‘庚戌臘望王後二日(경술납망왕후이일)’, 권3의 끝에는 ‘庚戌臘月念後始辛亥元日迄(경술납월념후시신해원일흘)’이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저자가 63세 되던 경술년인 1850년(철종 1) 동짓달에 저술을 시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序)와 발(跋)은 없다. ≪시가점등≫ 권1의 앞 부분에 저자의 간단한 책명에 대한 소개가 있는데, ‘점등(點燈)’이라는 두 글자를 따서 책이름을 삼은 동기를 설명하였다.

내용

“孤燈一點是吾師(외로운 등 하나는 나의 스승이다.).”라는 전현(前賢)의 시구에서 따온 것임을 먼저 밝히고, 불가(佛家)에서 말하는 ‘연등(燃燈)’이나 ‘심등(心燈)’의 뜻을 취한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시가점등≫ 권1에 ‘두율세(杜律細)’에서부터 ’사서일구합사성(四書一句合四聲)’, 권2에 ‘집구여신(集句如神)’에서부터 ‘계자시(戒子詩)’가 있다.

권3에 ‘연정위시(緣情爲詩)’에서부터 ‘전당시화(全唐詩話)’, 권4에 ‘왕도칭서원영재유시(王都稱徐菀泠齋有詩)’에서부터 ‘인영영촉연(人榮迎燭宴)’이 있다.

권5에 ‘불차군지시료아(不借軍持詩料雅)’에서부터 ‘청성적구(靑城摘句)’, 권6에 ‘화랑세기(花郞世記)’에서부터 ‘오식유무이기어(吳拭遊武夷記語)’, 권7에 ‘이촌계족척고려속(以寸計族戚高麗俗)’에서부터 ‘월산대군기구(月山大君奇句)’가 수록되어 있다.

≪시가점등≫ 권8에는 ‘임서하감악장편(林西河紺嶽長篇)’에서부터 ‘동국제현절구(東國諸賢絶句)’, 권9에는 ‘정부용두회축(政府龍頭會軸)’에서부터 ‘남성서중가화(南星書中佳話)’가 있다.

권10에는 ‘시자기인지사(詩者其人之史)’에서부터 ‘맥율필안수유주(麥栗筆案手柳酒)’, 속집에 ‘영폭포시우열(詠瀑布詩優劣)’에서부터 ‘석사작엽(昔邪昨葉)’에 이르기까지 총 1,392칙(則)의 시화가 실려 있다.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箋散藁≫를 편찬하기도 한 이규경의 ≪시가점등≫은 할아버지 덕무(德懋)로부터 이어져온 가학을 바탕으로 폭넓은 견문과 식견을 통하여 광범위한 내용을 담고 있어 백과전서파 학자의 시화로서의 진면목을 보여 주고 있다.

우리 나라 작가와 작품뿐만 아니라 중국시인과 시에 대해서도 내외무간(內外無間 ; 안과 밖이 다름이 없다)의 자세로 함께 다루고 있음도 볼 수 있다. 우리 나라 시인들 가운데에도 고대의 작가로부터 저자 당대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의 시화를 담고 있다.

≪시가점등≫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보아 우리 나라 시화 중에 허균(許筠)의 ≪학산초담 鶴山樵談≫과 ≪성수시화 惺叟詩話≫ 이후에 먼저 손꼽을 명저이다. 한중의 역대시화 1,392칙의 시화는 모두 해박하고 예리하여 저자의 비평안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시가점등≫은 각 권의 첫머리에 실려 있는 항목의 제목이 정리되어 있어 찾아보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래 손바닥만한 크기의 수진본(袖珍本 ; 소매 안에 넣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든 책)으로 전해오던 것이다.

작은 책에 크기가 작은 글씨로 너무 조밀하게 씌어져 보기에 아주 불편하였다. 1981년 아세아문화사에서 확대하여 영인하였다. 원본은 이구영(李九榮)이 수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시가점등해제(詩家點燈解題)」(이가원, 『시가점등(詩家點燈)』, 아세아문화사, 1981)
집필자
윤호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