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관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남북국시대, 당나라가 신라인을 위해서 산둥반도의 등주도독부(登州都督府)에 설치한 숙박소.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통일신라시대
내용 요약

신라관은 남북국시대에 당나라가 신라인을 위해서 산둥반도의 등주도독부(登州都督府)에 설치한 숙박소이다. 당나라 조정은 사신이나 유학생, 유학승 등 신라의 공식적 업무를 맡은 이들이 주로 왕래하던 곳에 공식적인 숙박소로 신라관을 설치하였다. 신라와 당나라의 외교 관계를 상징하는 시설이자 재당 신라인의 활동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고려 때에도 당대의 신라관을 이어 곳곳에 객관이 설치되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당나라가 신라인을 위해서 산둥반도의 등주도독부(登州都督府)에 설치한 숙박소.
내용

신라는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은 뒤, 당은포(唐恩浦)와 같은 주요 항구를 거점으로 사신이나 유학생, 유학승을 파견하였다. 이들을 태운 배는 당은포에서 서해의 북쪽 연안으로 따라 가다가 주1의 끝 주2에서 장산군도(長山群島)를 따라 주3의 등주(登州)에 도달하였다. 그 뒤에는 장산곶(長山串)에서 바로 서해를 횡단하여 산동반도의 등주나 적산(赤山)에 이르는 항로가 빈번히 이용되었고, 나주(羅州) 회진(會津)에서 서해를 비스듬히 건너 당나라의 주4주5에 이르는 항로도 활용하였다.

따라서 이곳에는 사신이나 유학생, 유학승 등 신라의 공식적 업무를 맡은 이들이 주로 왕래하였으므로, 당나라는 이들을 위해서 공식적인 숙박소로 신라관을 설치하였다. 그 뒤 이곳에서 장안(長安)에 이르는 간선도로의 주변에도 신라관이 꾸준히 설치되었다. 아울러 신라의 당은포에도 당나라 사람들을 위한 주6이 설치되었다.

신라소에 거주하던 신라인들은 자치기구인 신라소(新羅所)를 설치하여 당나라 연해 각지의 신라인을 통할하였다. 일본의 승려 엔닌이 기록한 일기체의 기행문인 『 입당구법순례행기』 권2에는 엔닌이 탄 귀국선은 풍랑에 떠밀려 문등현(文登縣) 적산촌(赤山村)에 이르렀는데, 그는 장보고가 세운 적산법화원(赤山法華院)에 기거하면서 재당 신라인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받으며 당에 머무를 수 있는 방법을 구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의의 및 평가

신라와 당나라의 외교 관계를 상징하는 시설이자 재당 신라인의 활동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고려 때에도 당대의 신라관을 이어 곳곳에 객관이 설치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원화군현지(元和郡縣志)」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단행본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주류성, 2011)
아세아해양사학회, 『장보고 대사의 활동과 그 시대에 관한 문헌사적 연구-1 · 2』(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7)
권덕영, 『재당 신라인사회 연구』(일조각, 2005)

논문

최희준, 「통일기 신라의 객관 운영과 그 분포」(『한국사학보』 69, 고려사학회, 2017)
최재영, 「8~9세기 당조의 번방 군영과 재당신라인 사회-당조의 외래인 집단거주지에 대한 통제양상 비교」(『대외문물교류연구』 3, 해상왕장보고연구회, 2004)
김문경, 「재당신라인의 집락과 그 구조-입당구법순례행기를 중심으로」(『고대한중관계사의 연구』, 삼지원, 1987)
주석
주1

중국 랴오닝성(遼寧省)의 남해안에서 서남 방향으로 튀어나온 반도. 톈산산맥(天山山脈)이 등성마루를 이루며, 해안선의 굴곡이 심하다. 다롄(大連), 뤼순(旅順) 등의 항구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중국(中國) 랴오닝성(遼寧省) 요동(遼東) 반도(半島)의 여순시 부근(附近)에 있는 산(山). 한(漢)나라 때의 목양성(牧羊城)의 유적(遺蹟)이 있음. 부근(附近)에서 석기(石器)ㆍ토기(土器)ㆍ동기(銅器)가 발견(發見)됨.    바로가기

주3

중국 동해안 황해(黃海)에 솟아 나온 반도. 랴오둥반도(遼東半島)와 마주 보며 황해의 발해를 가른다. 남쪽 연안은 기후가 온난하나 북쪽 연안은 겨울 한파가 매서워 동결한다. 연안은 중국 굴지의 어장이다. 철광석ㆍ망가니즈ㆍ금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고대 우(禹)의 구주 가운데 하나. 현재의 장쑤(江蘇)ㆍ안후이(安徽) 두 성(省)과 장시(江西)ㆍ저장(浙江)ㆍ푸젠(福建) 각 성의 일부를 포함한다.    우리말샘

주5

‘닝보’의 옛 이름.    우리말샘

주6

나그네를 치거나 묵게 하는 집.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