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월성로 고분군 (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무덤군.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군
건립 시기
삼국시대
관련 국가
신라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내용 요약

경주월성로고분군(慶州月城路古墳群)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무덤군이다. 4세기에서 6세기 전반에 이르는 56기의 무덤이 모여 있는데, 신라 왕경인 분묘 구역의 동쪽 끝부분에 해당한다. 덧널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 구덩식돌덧널무덤 등의 묘제가 확인되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신라고분 및 신라토기의 변화와 특징을 구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무덤군.
내용

경주월성로고분군에서 가장 시기가 빠른 무덤인 덧널무덤으로는 가 29 · 30 · 31호묘이다. 부분적인 발굴 조사만 이루어져 전체 모습을 알 수 없지만, 주1의 무덤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주2을 만든 구조이다. 무덤구덩이와 덧널 사이의 충전 공간이 확인되지 않아 덧널의 너비는 알 수 없다. 덧널 3기 모두 주3가 확인되어 꺾쇠로 덧널을 조립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덧널무덤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29호묘는 무덤구덩이 너비가 380㎝이다. 이 정도 너비의 무덤구덩이면, 무덤구덩이의 평면 형태가 긴 네모 모양이고, 으뜸덧널과 주4을 각각 별도로 만든 이혈(異穴) 으뜸 · 딸린덧널식 묘제로 추정된다.

29호묘는 일부만 조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납작도끼모양 덩이쇠, 주5, 주6 주7 등이 출토되었다. 덩이쇠와 비늘갑옷은 길이가 길고 너비가 좁은 경주형 덧널무덤에서 이전까지는 출토된 사례가 없었다. 그리고 일본제의 돌팔찌와 하지끼〔土師器〕계 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돌무지덧널무덤은 5세기 전반부터 6세기 전반까지 만들어졌는데, 무덤구덩이 전체에 돌을 덮은 것과 덧널 주변에만 돌을 채운 것이 있다. 5세기 전반의 돌무지덧널무덤으로는 가-5 · 6 · 8 · 12 · 13호묘 등이 있다. 이 돌무지덧널무덤은 깊이가 얕은 무덤구덩이를 파고 덧널을 설치한 후, 덧널과 무덤구덩이 사이, 덧널 위에 냇돌을 쌓았는데, 덧널 위쪽에 쌓은 냇돌의 양은 적다.

가-13호묘는 길이 350㎝, 너비 240㎝, 깊이 80∼90㎝의 크지 않은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5구를 합장한 매우 특이한 매장 양식을 보인다. 덧널 내부에서 약 60점의 토기, 5점의 고리자루큰칼과 수 점의 큰칼, 화살통 꾸미개, 곱은옥으로 만든 목걸이, 금목걸이 · 가슴장식 · 주8 · 귀걸이 등의 장신구와 함께, 금그릇 · 유리그릇 등 화려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외의 돌무지덧널무덤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고구려제의 녹유도기호(綠釉陶器壺), 불꽃무늬 주9이 있는 굽다리접시, 뿔잔, 뚜껑굽다리접시, 토우가 장식된 뚜껑굽다리접시, 짧은목항아리, 굽다리긴목항아리 · 굽다리주발 · 연질옹(軟質甕) 등 5∼6세기 대의 신라토기와 함께 장신구와 무기류가

구덩식돌덧널무덤주10은 강돌로 덧널을 짜고, 돌덧널 바닥에 잔자갈을 깔았으며, 한쪽 끝에 별도의 칸을 만들거나 별도의 시설을 만들어 유물을 부장하였다. 독무덤은 항아리 2개의 아가리를 맞대어 만든 이음식이다.

의의 및 평가

경주월성로고분군은 무덤의 형식, 출토 유물의 종류와 특징 등을 통해서, 그 조성 시기는 4세기에서 6세기 전반으로 편년된다. 이 무덤군은 덧널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 구덩식돌덧널무덤 등 다양한 묘제가 확인되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어 신라고분 및 신라토기의 변화와 특징을 구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그동안 논의되어 온 돌무지덧널무덤의 등장 시기와 계통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자료들이 확인되었다.

최근 조사가 이루어진 경주 쪽샘지구의 발굴 조사 성과와 더불어 월성 주변은 이미 3세기 대부터 무덤군이 조영되기 시작하였고, 늦어도 4세기 전반에는 이혈 으뜸 · 딸린덧널식의 대형 덧널무덤이 조영되면서 이곳이 신라 중앙 지배 집단의 묘역으로 자리 잡았음을 나타낸다. 4세기 대 이곳 월성 일대에는 으뜸덧널과 딸린덧널을 별도로 만든 이혈 으뜸 · 딸린덧널식 덧널무덤이 조영되고, 꺾쇠를 사용하여 덧널을 조립한 구조임이 확인되었다.

이혈 으뜸 · 딸린덧널식 묘제 및 꺾쇠로 덧널을 조립한 덧널무덤의 특징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신라 최고 지배층의 전용 묘제인 돌무지덧널무덤의 구조로 계승되었음을 보여 주는 가장 이른 시기의 돌무지덧널무덤이라는 점이다. 둘째, 인접한 황남동 · 황오동 일대에 자리하는 대형 돌무지덧널무덤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자료들이 다수 확인되었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

신라 중앙 지배층의 집단 묘역에 포함되는 경주월성로고분군의 피장자는 신라 중앙 지배층의 일부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경주 쪽샘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Ⅰ-A지구-』(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경주시, 2011)
『경주시 월성로 고분군』(국립경주박물관 · 경북대학교박물관 · 경주시, 1990)

논문

박형열, 「경주 쪽샘유적 적석목곽분의 특징과 과제」(『문화재』 78, 2017)
윤형준, 「쪽샘유적 신라고분 분포양상과 목곽묘의 성격」(『문화재』 78, 2017)
김보상, 「경주 쪽샘지구 분묘군 구성과 연접 배치」(『고고학지』 22, 2016)
주석
주1

내각(內角)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 주로 정사각형이 아닌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

널을 넣기 위해 따로 짜 맞춘 매장 시설. 일반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우리말샘

주3

양쪽 끝을 꺾어 꼬부려서 주로 ‘ㄷ’ 자 모양으로 만든 쇠토막. 두 개의 물체를 겹쳐 대어 서로 벌어지지 않게 하는 데 쓰인다.    우리말샘

주4

으뜸 덧널에 딸려 있어 대개 껴묻을 거리를 넣어 두는 곳.    우리말샘

주5

삼국 시대에, 무사들이 상반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입던 쇠로 만든 갑옷. 앞면에 쇠붙이 판을 박아 만든 것으로, 신라와 가야에서만 출토되었다.    우리말샘

주6

작은 쇳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갑옷.    우리말샘

주7

갑옷에 단 비늘 모양의 가죽 조각이나 쇳조각.    우리말샘

주8

매달아서 길게 늘이는 물건.    우리말샘

주9

토기 굽에 뚫린 구멍.    우리말샘

주10

주검을 위에서 수직으로 넣도록, 옆으로 트인 창이나 입구 없이 돌로 네 벽을 짠 무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