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다리접시의 기원은 원삼국시대 칠기인 두(豆)와 이를 모방한 두형토기에서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삼국시대에는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출현하기 때문에 접시 혹은 사발에 긴 굽을 붙인 토기를 통칭해서 굽다리접시라 부른다.
굽다리접시는 배신부와 대각부로 구분한다. 배신부는 접시 혹은 사발의 형태를 띠고 있는데, 뚜껑받이턱이 있는 유개식과 없는 무개식으로 구분한다. 그러나 유개식이라고 뚜껑이 있고, 무개식이라서 뚜껑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각부는 배신부에 붙은 굽으로, 八자 형태와 /\ 형태가 있다. 배신부보다 긴 것을 장각, 짧은 것을 단각이라 한다. 투창 유무와 배치 방식에 따라서 무투창, 일단투창, 이단일렬투창, 이단교호투창 등으로 세분한다.
굽다리접시의 제작은 배신부와 대각부를 별도로 만들어 붙이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원삼국시대 두형토기는 배신부 중앙에 구멍을 내고 대각부를 끼우는 방식도 있다.
굽다리접시의 본격적인 사용은 4세기부터이며, 가야 · 신라 · 백제에서 유행하였다. 특히 가야와 신라에서는 무덤에 부장하는 제기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가야와 신라의 굽다리접시는 크게 4세기, 5세기~6세기 중후엽, 6세기 후반 이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4세기 대는 굽다리접시가 출현하는 시점으로 외절구연고배, 통형고배, 완형무투창고배 등이 있다.
외절구연고배는 구연부가 바깥쪽으로 꺾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낙동강 하구의 금관가야에서 출토된다. 통형고배는 공(工) 자형 고배라고도 불리며, 접시 모양의 배신부에 아래쪽이 나팔처럼 벌어지는 대각을 부착한 것이다. 아라가야인 함안을 중심으로 영남 전역에서 출토된다. 완형고배는 깊은 사발 모양의 배신에 팔(八) 자형 무투창 대각을 부착한 것으로 진주, 함양 등 남강 유역에서 주로 출토된다.
5세기~6세기 중반에는 가야토기와 신라토기가 뚜렷하게 구분되고, 내부에서도 지역마다 독특한 형태가 발전한다. 또한 4세기 후반부터 등장하는 뚜껑을 가진 굽다리접시가 본격적으로 유행한다.
가야의 경우 배신부가 얕고, 대각부가 팔(八)자 형태로 곡선적이며 이단투창을 상하일렬로 배치한 것이 많다. 또한 뚜껑은 단추형이나 유두형과 같은 꼭지이며, 유충문이 주로 새겨져 있다. 그리고 고령의 대가야, 함안의 아라가야, 진주 · 사천 · 고성 등의 소가야, 창녕의 비화가야 등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굽다리접시가 제작된다.
대가야는 배신이 얕고 대각이 넓은 형태로, 장방형의 이단일렬투창 혹은 원형투공을 가진 것이 많다. 뚜껑 손잡이는 단추형도 많지만, 보주형과 유두형이 특징적이다. 아라가야는 유개식과 무개식이 모두 존재하며, 다양한 형태를 띤다. 그중에서도 화염문투창은 아라가야의 독특한 특징이다.
소가야는 배신이 얕고 대각 아래 부분을 한번 꺾어서 제작하며, 삼각형 투창을 가진 것이 많다. 비화가야는 가야 · 신라 양쪽의 특징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신라의 굽다리접시와 유사해진다.
반면, 신라는 대각부가 /\ 형태로 직선적이고 투창을 이단으로 엇갈리게 배치한 것이 많다. 뚜껑은 단추형이나 고배 대각부를 뒤집은 듯한 형태의 꼭지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파상문이나 집선문 같은 문양을 새긴다. 신라 역시 의성 등 중요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적 특징을 지닌 굽다리접시가 존재하지만, 가야에 비해서 지역색이 적다.
6세기 중후반, 가야의 멸망과 함께 신라의 굽다리접시가 영남 전역으로 확산된다. 이 시기의 굽다리접시는 이전에 비해 다양성도 줄어들고 크기도 작아진다. 이후 신라의 굽다리접시는 삼국통일과 함께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지만, 8세기를 전후해서 급격하게 소멸한다.
백제의 굽다리접시는 한성기(서기전18서기후475)에 짧은 굽을 가진 유개식 · 무개식이 등장하며, 투창은 없거나 원형이 많다. 웅진기(475538)에는 긴 굽에 삼각형 투창이 존재하는 등 다양한 굽다리접시가 등장한다. 그러나 사비기(538~660)에 들어서 다시 짧은 굽을 가진 것이 많아지고 형태가 단순화된다. 이외에 전라도 일대에서도 굽다리접시가 종종 출토되고 있지만, 전형적인 형태를 찾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