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토기 ()

고대사
유물
백제의 영역 안에서 제작, 사용된 토기.
내용 요약

백제토기는 백제의 영역 안에서 제작, 사용된 토기이다. 중국 타날문토기와 원삼국시대의 토기를 기반으로 성립하였다. 제작기술 측면에서 적갈색연질토기, 회색연질토기, 회청색경질토기로 구분된다. 주로 승문(繩文)과 격자문(格子文)이 타날수법(打捺手法)으로 시문되어 있다. 일상생활용기, 제사용기, 부장용기 등으로 분류되는데, 일상생활용기가 부장용 토기보다 풍부하게 발견되고 있다. 부장용기는 옹관주이나 장골용기(藏骨容器)로 쓰인 화장용기(火葬容器) 등이 있다. 주변 인접국과의 부단한 교류를 통하여 국제성과 개방성을 갖춘 토기로 성장, 발전하였다.

정의
백제의 영역 안에서 제작, 사용된 토기.
개설

백제토기는 제작기술 측면에서 소성도에 따라 적갈색연질토기, 회(흑 · 백)색연질토기, 회청색경질토기로 구분되며 문양은 주로 주1주2이 타날수법(打捺手法)으로 시문되어 있다. 그러나 흑색마연토기(黑色磨硏土器)와 같은 특수 기종은 표면처리나 문양구성에서 일반적인 토기와 다른 양상을 보인다. 기종은 대략 20여 종으로 그 가운데 주3주4, 주5는 백제적 색채가 강하게 나타나며, 삼족토기는 백제의 가장 고유한 기종이라 할 수 있다.

내용

백제토기는 중국 전국(戰國)계 주6와 낙랑계 영향 아래 발생된 원삼국시대의 토기를 기반으로 하여 성립하게 된다. 또한 한강유역의 주7, 대형 주8, 풍납 · 몽촌토성 등 한성기 백제 초기유적에서 흑색마연 기법으로 제작된 고배 · 직구단경호(直口短頸壺) · 직구광견호(直口廣肩壺) · 삼족토기와 같은 새로운 토기 기종이 출현한다. 이러한 새로운 기종의 출현을 백제 국가성립의 지표로 이해하고 있다.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대부(大夫)명, 정(井)명 토기와 각종 생활용기, 서진(西晉)대의 시유도기(施釉陶器), 전문도기(錢文陶器), 낙랑 토기와 가야 및 일본계 토기 등이 출토되어 국제성을 띠고 있기도 하다.

웅진기에는 한성기 토기의 기종이 대체로 이어지면서 몇 가지 새로운 기종이 추가되고 기형적 변화가 이루어진다. 주9는 한성시기의 원통형에서 고복형(鼓覆形)으로, 삼족기는 반형(盤形)이 사라지고 유개삼족기(有蓋三足器)가 제작된다.

고배나 삼족기의 배신(杯身)은 깊은 것에서 잠차 낮고 편평해지는 변화가 관찰된다. 직구단경호도 계속 제작되지만 몸체가 둥글며, 어깨의 문양대가 거의 사라지는 모습을 보인다. 한편 한성시기 후반에 등장한 주10가 보편적으로 제작 · 사용되는 것이 웅진기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사비기에는 삼족기 · 고배 · 개배 · 직구단경호 · 광구장경호 · 기대 등의 전통적인 기종들이 일정 부분 이어지다가 대부완(臺附盌) · 접시 · 전달린 토기 · 주11 · 벼루 · 등잔 · 호자(虎子) · 주12 등의 새로운 토기 기종들이 추가된다. 이 중에는 탄소흡착기법으로 표면을 흑색으로 도포한 토기질이 무른 흑색연질토기로서 자배기와 대상파수부호가 만들어진다.

한편 웅진시기 이래로 도입된 중국의 금속기나 자기를 모방한 대부완과 사이부장경호(四耳附長頸壺) 등이 만들어지거나 자기를 모방한 연유도기(鉛釉陶器)들도 제작된다. 이와 함께 사비기 후기로 가면서 회색연질로 제작된 토기들이 증가하고 규격화가 진행된다.

이러한 양상은 관(官)의 지배 하에 토기 생산체제가 직접적으로 관리되었으며, 백제의 중앙집권 강화와 관료제 시행 등을 통해 주13로 백제 사회가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해석할 수 있다.

사비기에 처음 등장하는 전달린 토기는 이 시기의 가장 특징적인 토기이다. 이 토기는 대부완의 주14 아래에 횡으로 약 2㎝ 정도의 전을 부착한 이후에 일부를 잘라낸 토기이다. 부착된 전의 개수에 따라 2개와 3개가 확인된다.

부여 능사〔능산리사지〕하층에서 출토된 것은 외면에는 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칠은 주15를 모방한 것으로 여겨지며, 서울 아차산구의동의 고구려 유적에서도 확인되는데 고구려와의 관련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이 토기는 백제의 왕도 지역인 부여익산에서만 확인되는 독자적인 특징도 보이고 있다.

한편 영산강유역의 토기는 4세기 전반경까지는 금강유역 토기양상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략 5세기 전반을 기점으로 주16를 위시하여 유공광구소호(有孔廣口小壺)가 등장하고, 이어서 백제 중앙의 개배가 더해지면서 이들 토기를 핵심기종으로 하는 영산강유역 양식 토기가 5세기 중엽 경에 완성된다.

이러한 영산강유역 양식의 토기는 백제 · 가야계 토기가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다양해지지만, 6세기 전반 이후에는 사비양식 백제토기로 통일화된다. 이와 같은 영산강유역 백제토기의 변천과정은 백제 영역으로의 편입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백제토기는 용도에 따라 크게 일상생활용기, 제사용기, 부장용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일상생활용기는 다시 취사용기, 저장용기, 생활용기, 문방구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취사용기는 자비용기(煮沸用器)로서 당시 식생활과 연관된 토기로 시루 · 주17 · 장란형토기 등 대부분이 저화도의 적갈색연질계로 소성되어 사용되었다.

저장용기의 대표적인 기종으로는 호(壺) · 옹(甕)으로, 소성도 역시 연질과 경질이 모두 확인되고 있다. 이들 저장용기에는 각종 음식과 연관된 식재료는 물론 물 · 술 등을 보관하였으며, 용인 수지 백제시대 주거지 내부에서 출토된 호에서는 다량의 철기가 출토되어 음식물과 연관되었다는 사실 이외에 다른 물품들도 보관하였음이 밝혀졌다.

당시 백제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생활용기의 대표적인 토기로서 호자와 등잔을 들 수 있다. 호자는 호랑이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중국의 자기를 모방하여 제작된 것인데, 그 용도는 남성용 소변기로 추정하고 있으며, 주로 사비시기에 제작되었다. 문방구로는 벼루가 대표적인데 백제 사비기의 부여와 익산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있어 당시 관료제도의 정비와 문서행정의 전문화가 이루어졌음을 짐작케 한다.

부장용기로 사용된 토기로는 백제 고지(故地) 전역의 분묘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는데, 보통 일상생활용기 가운데 호를 부장용기로 전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죽은 자의 관으로 사용된 주18이나 장골용기(藏骨容器)로 쓰인 화장용기(火葬容器)가 있다.

특징

백제토기는 고구려, 신라, 가야 등과 비교하면 매우 다양한 기종이 확인되고 장식성이 강하지 않고 단순하며 색조, 유려한 선 등을 통해 볼 때 백제인들이 보다 절제되고 간결함을 추구했음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한성기부터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용 토기가 고분부장용 토기보다 풍부하게 발견됨으로써 실용적인 면을 선호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백제토기는 백제문화의 국제적 · 개방적인 면과 상통하듯 중국, 고구려 등 주변국과의 교류를 통하여 백제화가 이루어졌고 일본에 토기제작 기술을 전파하기도 하였다. 백제토기는 중국과의 문화교류를 통해 괄목할만한 성장을 가졌왔는데, 이는 백제유적에서 출토되고 있는 시유도기 · 전문도기 등 각종 중국제 도자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백제토기가 주변 인접국과의 부단한 교류를 통하여 국제성과 개방성을 갖춘 토기로 성장, 발전해나갔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백제토기의 연구」(안승주, 『백제문화』 12, 1979)
주석
주1

새끼줄 모양의 무늬.    우리말샘

주2

문살을 바둑판처럼 가로세로가 일정한 간격으로 직각이 되게 짠 문.    우리말샘

주3

발이 세 개 달린 고대 토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소아시아, 중국, 중앙아메리카 등지의 선사 시대 유적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이 형태는 그대로 청동기에 옮겨져 실용적인 용기에서 의례적인 용기로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4

아가리가 곧게 세워진 항아리.    우리말샘

주5

접시에 높은 굽을 붙인, 고대 식기의 하나. 동남아시아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사용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김해ㆍ경주 등지에서 많이 발굴된다.    우리말샘

주6

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해 두들개로 두드려서 삿무늬나 문살무늬가 생긴 토기.    우리말샘

주7

시신 위나 시신을 넣은 석곽(石槨) 위에 흙을 덮지 않고 돌을 쌓아 올린 무덤. 선사 시대부터 고구려ㆍ백제 초기에 나타난다.    우리말샘

주8

흙을 둥글게 쌓아 올려서 무덤을 만듦. 또는 그 무덤.    우리말샘

주9

밑이 둥근 항아리 따위의 그릇을 올려놓는 데 쓰던 받침. 삼국 시대 특히 가야와 신라 지역에서 많이 나오며 굽구멍이 뚫려 있다.    우리말샘

주10

굽이 없이 뚜껑이 덮여 있는 접시.    우리말샘

주11

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넓게 벌어진 질그릇.    우리말샘

주12

굴뚝 위에 꾸밈으로 얹는, 기와로 만든 지붕 모양의 물건.    우리말샘

주13

율령을 나라의 기본으로 하여 통치한 국가. 중국 당나라 때에 완성하였는데, 그 영향은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까지 미쳤다.    우리말샘

주14

물건을 넣고 내고 하는, 병ㆍ그릇ㆍ자루 따위의 구멍의 어귀. ⇒규범 표기는 ‘아가리’이다.    우리말샘

주15

옻칠을 한 나무 그릇.    우리말샘

주16

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이 되는 둥근 항아리. 대표적인 신라 토기(土器)로 바닥은 둥글거나 약간 위로 욱여들어 있다.    우리말샘

주17

그릇 몸통의 지름보다 속이 깊은 바리.    우리말샘

주18

고대에 점토를 구워서 만든 관(棺).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