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m. 경내의 여러 건물배치와 석탑의 보존상태로 보아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로 생각된다.
이 석탑은 백색 대리석으로 조성한 방형 평면의 석탑으로 2층의 기단부를 구성하고 그 위에 중적(重積)한 탑신부를 받고 있는 점은 신라나 고려시대의 일반형 석탑의 기본수법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재(部材)의 세부조형에 있어 전혀 양식을 달리하고 있다.
소규모의 석탑으로서, 기단부부터 탑신부에 이르기까지 각 층의 부재를 모두 1매석씩으로 구성하였는데, 이는 그 재료가 구하기 어려운 백색 대리석인데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단부는 지대석 위에 구성되었으며, 지대 상면에는 4변의 상면에 단엽의 복연화문(覆蓮華文)이 조각되어 있다. 중앙에서 모퉁이로 향하면서 사형(斜形)이 되는 배열양식은 고려시대의 연화문 배열수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양식이다.
하층기단 면석은 매우 낮으며 각 모서리에는 양쪽에 형식적인 우주형(隅柱形)이 모각(模刻)되었고, 그 사이 4면에는 파상(波狀)의 문양이 조식되었다. 면석 위의 하층기단 갑석은 유달리 두꺼워서 중후한 느낌을 주며, 각 면에 장식적인 표현이 있어서 둔중함은 면하고 있다.
즉, 측면에는 한 줄의 띠로 된 굽을 두르고 그 상하면에 단판(單瓣)으로 앙(仰)·복(覆)의 연화문을 새겼으며 다시 하면에는 1단의 각형 받침을 새겼다. 그리고 상면에는 1단의 각형 굄을 마련하여 상층기단을 받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모든 장식적인 의장에서 다소나마 둔중한 느낌을 감소시키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에는 화형(花形)과 연주문(連珠文)으로 장식한 우주형의 모각이 있고 각 면에는 용문양을 조각하였는데, 용 주위의 구름 문양도 우아하여 구름과 용이 잘 어울린다.
상층기단 갑석은 하층기단 갑석을 뒤집어놓은 듯하며, 상면은 평평할 뿐 아무런 탑신굄대도 없이 탑신부를 받고 있다. 측면에는 상단에 이르면서 굽의 띠를 돌리고 하단에는 하면에 이르기까지 연화문을 조각하였는데, 단엽으로 각 면에 9판의 앙련을 조각하였다.
탑신부는 현재 8층옥신까지 원형대로 남아 있고, 그 위의 옥개석과 옥신석은 8층의 바로 위의 것이 아니다. 각 층의 옥신에는 양쪽에 우주가 있을 뿐 다른 조식이 없다. 그리고 각 층의 체감이 적은 편이고, 특히 옥신석이 매우 낮아져 두께가 옥개석의 두께와 비슷하다. 그러므로 다소 불안정한 느낌을 주고 있는데 이 석탑이 다층이므로 더욱 그러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옥개석은 평박하나 하면의 받침은 아주 낮게 새겼고 상면에는 옥신굄인 각형 1단이 각출되었으며, 낙수면의 경사가 극히 완만하여 둔중함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추녀 밑은 수평으로 전개되다가 모퉁이에 이르러 위로 들리어 전각에 반전이 표현되었는데,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함에 따라 우동(隅棟: 탑의 옥개석의 귀마루)도 거의 수평이며 전각의 반전도 약해져서 경쾌한 느낌을 감하고 있다. 상륜 부재는 하나도 남아 있는 것이 없다.
이 석탑은 일부에 고려시대의 양식을 남기면서도 여기서 벗어나려는 새로운 양식을 볼 수 있다. 한편, 대리석에서 오는 질감으로 인하여 각 부의 조각은 한층 우아한 맛을 더하고 있다.
신륵사의 창건연대에 대하여는 신라시대로 올라간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현존유물은 모두 고려 중엽 이후의 것이고, 1472년(성종 3)에 여러 당우(堂宇)를 재흥한 사실로 보아 이 석탑도 이 시기에 건조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