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건축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8각 석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鍾 앞 石燈)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석등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73 (천송동, 신륵사) / (지번)경기 여주시 천송동 산113-1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고려시대 8각 석등.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94m. 고려시대 석등 중 우아한 형태와 장식성이 돋보이는 우수한 작품이다.

석조부도(石造浮屠)의 형식을 모방한 석등으로서, 상대(上臺)·하대(下臺)의 명확한 구별이 없이 한 돌로 구성된 점은 석등이 형식화되는 시대적 추이를 짐작하게 한다.

8각의 지대석 위로 8각의 하대와 복엽복판(複葉覆瓣)의 연꽃을 매우 두껍고 도식적으로 장식하였다. 간주석(竿柱石)은 짧아져 마치 석조부도의 중대(中臺)와 유사하며, 모서리마다 난간형(欄干形)을 장식하였다. 또한, 그 사이 면에는 안상(眼象)과 중앙 화문(花文)을 낮게 부조(浮彫)하였다.

상대는 하대의 연판과 동일한 복엽앙련(複葉仰蓮)을 조각하였고, 그 위에 한단의 낮은 층급과 다시 턱이 높은 층급을 만들어 화사석(火舍石: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을 받쳤다.

이러한 기단 형식은 장흥 보림사 서 승탑(보물, 1963년 지정)의 기단과 매우 흡사하여 주목된다. 상대 위에는 화사석 받침의 표현이 전혀 없이 바로 화사석을 얹어놓았다. 이 화사석은 기타의 부재와 달리 그 재질이 화강암이 아니고, 납석제(蠟石製)인 점이 특이하다.

8면의 면마다 상부를 꽃모양으로 장식한 화창(火窓)을 뚫었고, 각 면의 모서리에는 돌출된 원형기둥과 율동적 형태의 용을 고부조(高浮彫)하였다. 화사석 상부면에도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조각하고 그 아래 기둥 사이 면마다 하강하는 듯한 비천상(飛天像)을 고부조로 장식하였다.

이와 같이 화사석을 납석제로 만들었기 때문에, 섬세한 고부조 장식을 표현하기가 더욱 용이하였다고 생각된다. 화사석 위로는 전각(轉角)이 두꺼운 옥개(屋蓋)가 올려져 있는데, 기왓골의 표현이 없이 각 면의 합각에 우동(隅棟: 옥개석의 귀마루)만을 둥글게 돌출시켰다.

옥개와 한 돌로 이루어진 상부면 중앙에는 복발형(覆鉢形) 장식을 표현하였으며, 그 위로는 2단의 층급을 이룬 뒤 연봉형의 보주(寶珠)를 올려놓았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으면서도 각 부의 구성이 안정감 있고, 특히 화사석의 화려한 장식미가 돋보이는 작품으로서 고려 말기의 석등형식을 대변하여 주는 귀중한 예이다.

조성연대는 보제존자가 신륵사에서 입적한 뒤 부도를 세웠던 1397년에 함께 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국보-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4)
『한국의 미-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한국의 사찰-신륵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