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위서 동이전 한조(韓條)에는 삼한 소국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는데, 그 명칭들은 당시의 중국음에 따라 표기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당시의 중국음은 대체로 지금의 우리 한자음과 가까우므로 삼한 소국의 위치비정에 참고가 된다. 이 소국은 『삼국지』의 기술순서로 보아 지금의 경기도지역에 위치하였던 것은 분명하나 특정지명에 비정하기는 어렵다.
『삼국사기』지리지에 따르면 양성현(陽城縣)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沙伏忽 : 사복골)인데, 신라 경덕왕 때적성현(赤城縣)으로 이름을 고치고 고려시대에 양성현으로 개명하였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사복홀’·‘사파을(沙巴乙)’이라고 하였으므로 ‘신분활’은 ‘사복홀’ 또는 ‘사파을’에 가까운 것으로 보고 지금의 경기도 안성군 양성에 비정하기도 한다.
이설로는 『삼국지』에 수록된 순서가 지금의 춘천으로 비정되는 우휴모탁국(優休牟啄國)과 서울 강남으로 비정되는 백제국(伯濟國) 사이에 있는 점을 들어 경기도 가평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이 소국은 3세기쯤까지 읍락국가로 계속하다가 그 뒤 백제에 복속되었다. →마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