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우위·흥위위와 함께 삼위라고 불려지기도 하였으며, 다른 오위와 함께 995년(성종 14)에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삼위의 군사수는 32영 3만 2,000인으로 전체 중앙군의 70% 이상을 차지하였는데, 신호위는 보승 5영, 정용 2영으로 도합 7영 7,000인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문종 때를 기준으로 하면 상장군을 최고지휘관으로 하여 대장군 1인, 장군 7인, 중랑장 14인, 낭장 35인, 장사 1인, 별장 35인, 녹사 2인, 산원 35인, 위 140인, 대정 280인으로 구성되었다.
이 군단은 다른 이위와 함께 왕의 행차에 대한 호가(扈駕), 외국사신의 송영 등을 비롯한 국가의 여러 행사에 참여하였으며, 출정과 방수의 의무를 함께 지고 있었다. 이들은 국가의 국방상비군으로, 평상시에는 변경에 교대로 출동하였는데, 출정할 때에는 오군이라는 특수편제가 이루어졌다.
오군은 평상시에는 실무를 맡은 기간요원만 임명되어 있다가 전쟁이 일어나면 특히 신호위를 포함한 삼위 소속의 군대를 편입하여 전투편제를 형성하였으며, 이 때에 전군을 지휘할 원수·부원수 등이 임명되어 사령부가 갖추어지게 되었다.
한편, 전투가 없는 평상시에는 군사훈련이나 방수를 위한 출동을 제외하고는 늘 토목공사에 동원되었다. 신호위 등에 속하여 있는 정용과 보승의 구별은 마군과 보군의 병종별 구분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육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