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반야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중생이 본래부터 갖춘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직관하는 반야의 지혜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내용 요약

실상반야는 중생이 본래부터 갖춘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직관하는 반야의 지혜를 의미한다. 산스크리트어인 프라즈나(prajna)의 번역어인 ‘반야’는 실상반야, 관조반야, 문자반야 등 삼종반야로 묶어서 이해한다. 실상반야에 대하여 불경에 나타난 기존의 설을 신라의 원효는 유(有), 공(空), 역유역공(亦有亦空), 비진비속비유비공(非眞非俗非有非空) 등 네 가지로 분류, 정리하였다. 이후 원효는 중생이면 누구나가 갖추고 있는 여래가 될 수 있는 씨앗인 ‘여래장(如來藏)’이 ‘실상반야’라고 주장하였다.

목차
정의
중생이 본래부터 갖춘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직관하는 반야의 지혜를 의미하는 불교교리.
개설

실상반야(實相般若)는 주1주2와 함께 삼종반야의 하나이다. 실상반야는 반야의 이체(理體)로서 본래 중생에게 갖추어져 있는 본질적인 것, 즉 모든 허망한 상(相)을 떠난 반야의 참된 성품을 말한다. 관조반야는 실상(實相)을 관조하는 참된 지혜이며, 문자반야는 그 실상을 설명하는 글자로 된 반야를 뜻한다. 문자반야를 방편반야(方便般若)라고도 한다.

연원 및 변천

혜원(慧遠)주3주4 「삼종반야의(三種般若義)」에 의하면 삼종반야는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인 주5에 처음 나오는 용어로서 산스크리트어인 프라즈나(prajña)의 소리를 따라 만든 용어 ‘반야’를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실상반야는 단독으로 이해되기보다는 관조반야 ‧ 문자반야와 더불어 삼종반야로 묶어서 이해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천태종에서는 삼종반야를 공(空) ‧ 가(假) ‧ 중(中)과 연결시켜 해설하였다. 즉 공은 관조반야로서 주6와 같고, 가는 방편반야로서 주7와 같고, 중은 실상반야로서 주8와 같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삼종반야는 법상종(法相宗)에 이르면 경계반야(境界般若)와 권속반야(眷屬般若)를 추가하여 오종반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내용

이 실상반야에 대하여 불경에 나타난 기존의 설을 신라원효(元曉)는 네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첫째는 유(有), 둘째는 공(空), 셋째는 역유역공(亦有亦空), 넷째는 비진비속비유비공(非眞非俗非有非空)이다.

첫째의 ‘유’는 유가론자(瑜伽論者)의 주장으로서, ‘ 진여(眞如)가 곧 실상반야’라는 것이다. 둘째의 ‘공’은 『반야경』에 근거한 것으로서, 진여뿐만 아니라 ‘모든 것이 다 공한 그 자체가 실상반야’라고 보는 견해이다. 셋째의 ‘역유역공’은 『반야경』과 『유가론』을 함께 인증한 것으로, 세속적으로 볼 때는 실상반야가 ‘유’이지만, 진리의 입장에서 볼 때는 ‘공’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넷째의 ‘비진비속 비유비공’은 진속(眞俗)의 법문이 모두 가설이요 실상이 될 수 없음을 근거로 한 것으로서, 이러한 가설에 의하면 실상반야는 진도 아니요 속도 아니며, 유도 아니요 공도 아닌 것일 수밖에 없다는 견해이다.

원효는 이와 같은 네 가지 설을 정리한 다음, 이 설들이 불교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견해가 아니기 때문에 모두 옳은 가르침이라고 전제한 뒤 다시 자신의 독특한 견해를 밝히고 있다. 곧 중생이면 누구나가 갖추고 있는 여래가 될 수 있는 씨앗인 ‘여래장(如來藏)’이 ‘실상반야’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여래장이 바로 실상반야이며, 실상반야가 여래장이라고 한 주장에는 반야의 본체가 중생의 마음속에 깃들여 있으므로 그것을 개발하여 여래를 나타내어야 한다는 강력한 원효사상의 핵심이 담겨있다. 여래장은 부처나 진리의 입장에 선 교설이 아니라 중생의 입장에서 ‘중생 속에 있는 여래’를 강조하는 교설이다.

따라서 원효가 ‘여래장이 실상반야’라고 한 것은 고원한 깨달음의 차원에 있는 실상반야를 중생 속으로 향하게 하고 깨달은 중생의 길을 열어주겠다는 강렬한 의지에서 나온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나아가서 원효는 이 실상반야를 금강장(金剛藏) ‧ 정법장(正法藏) ‧ 묘업장(妙業藏) 등으로 풀이하였다.

금강장이라고 한 것은 중생의 속에서 금강석과 같은 주9를 발현시키기 때문이고, 정법장이라고 한 것은 실상반야가 중생 속에서 정법의 씨앗을 심도록 하기 때문이며, 묘업장이라고 한 것은 실상반야가 중생의 마음속에서 갖가지 선한 생각을 일으키고, 모든 선을 실천하게끔 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참고문헌

『대승의장(大乘義章)』(혜원)
『금광명경현의(金光明經玄義)』(지의)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원효)
『대반야바라밀다경반야리취분술찬(大般若波羅蜜多經般若理趣分述讚)』(규기)
『시공 불교사전』(곽철환, 시공사, 2008)
『원효(元曉)의 실상반야관(實相般若觀)』(이기영, 한국불교연구, 한국불교연구원, 1982)
주석
주1

삼반야(三般若)의 하나. 모든 사물의 참모습과 나아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이치를 비추어 보는 지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삼반야(三般若)의 하나. 문자는 지혜를 설명하여 나타내는 방편이 된다 하여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 동진의 승려(334~416). 속성은 가(賈). 백련사라는 염불 결사를 창설하여 중국 정토종의 개조가 되었다. 저서에 ≪대지도론요략(大智度論要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수나라의 혜원이 지은 일종의 불교 용어 사전. 내용을 교법(敎法), 의법(義法), 염법(染法), 정법(淨法), 잡법(雜法)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다시 222개 부문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하였다. 우리말샘

주5

나가르주나가 산스크리트 원전의 ≪대품반야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대승 불교의 백과사전적 저작이다. 우리말샘

주6

현상계의 모든 존재의 각기 다른 모습과 그 속에 감추어져 있는 참모습을 알아내는 부처의 지혜. 우리말샘

주7

여러 종류의 도법(道法)을 닦아서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의 지혜. 우리말샘

주8

현상계의 모든 존재의 각기 다른 모습과 그 속에 감추어져 있는 참모습을 알아내는 부처의 지혜. 우리말샘

주9

사지(四智)의 하나. 큰 거울에 삼라만상이 그대로 비치는 것과 같이 원만하고 분명한 지혜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