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인간을 포함한 일체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사상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공사상.
이칭
이칭
공사상
내용 요약

공(空)이란 인간을 포함한 일체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사상을 가리키는 불교 교리이다. 현상계의 모든 사물의 이법(理法)을 설명하는 원리로서 불교의 근본 사상이 되었다. 공은 부처가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은 진리에서 기원한다. 일체의 만물은 단지 원인과 결과로 얽힌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무아(無我)이며, 무아이기 때문에 공이라는 내용이다. 원효는 공이라는 진실을 모든 사람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원효는 본래 내 몸에 갖추어져 있는 그 진실을 자각하면 누구나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정의
인간을 포함한 일체 만물에 고정 불변하는 실체가 없다는 사상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공사상.
개설

범어로는 Śunya, 팔리어로는 Suñña. 불교 이전부터 널리 사용되어 온 말로서 인도의 수학에서는 영(零)으로 사용되었고, 힌두교에서는 브라만(梵)과 니르바나(涅槃)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주1의 모든 사물의 이법(理法)을 설명하는 원리로서 불교의 근본사상이 되었다.

내용

일반적으로 반야부(般若部) 계통의 대승불교사상으로 알려진 공사상은 부처가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은 진리인 연기(緣起)에 그 주2을 두고 있다.

현상계를 유전하는 모든 존재는 인연(因緣)의 화합으로 주3하는 존재이므로 고정 불변하는 주4이 없다. 이와 같이 일체의 만물은 단지 원인과 결과로서 얽힌 상호의존적 관계에 있기 때문에 주5이며, 무아이기 때문에 공(空)인 것이다. 이때의 공은 고락(苦樂)과 유무(有無)의 양극단을 떠난 주6이며, 이것이 부처가 깨달은 내용이다.

그러나 주7에서 주8는 항유(恒有)한다는 실재론(實在論)을 주9하였기 때문에 초기 대승불교에서는 법의 항유를 부정하면서 주10주11의 이공설(二空說)을 내세운다.

아공은 자아를 실재라고 인정하는 미혹한 집착을 부정하도록 가르치는 것이고, 법공은 나와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하여 항상 있는 것이라고 인정하는 잘못된 집착을 부정하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야경(般若經)』의 공사상이 초기불교에 그 근원을 두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철학적 체계화를 시도한 사람은 용수(龍樹, 주12이다. 용수는 주13「관사제품(觀四諦品)」제18게(偈)에서 공사상의 이론적 근거가 연기라고 명확히 제시하였다.

나아가 주14주15의 관계를 드러낸 이제설(二諦說)을 정립하였다. 즉 세간의 언어 습관인 세속제가 연기와 공을 바탕으로 성립하므로 연기와 공에 대한 이해야말로 승의의 진리(眞諦)를 알고 열반을 얻게 하는 구체적인 지혜임을 나타낸 것이다.

용수는 『중론』을 통해 『반야경』의 공사상을 연기설과 같은 위치에 놓음으로써 이를 이론적으로 해명하고, 대승불교의 역사적 위상을 확립시킴으로써 대승불교의 사상 전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도에서는 이 책에 의해 주16가 일어났으며, 주17와 더불어 인도 대승불교의 2대 사조를 형성하였다.

유가행파도 『중론』의 공사상을 계승하여 현실세계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삼계유식설(三界唯識說)과 삼무성설(三無性說)을 주장하였다. 또한 중관학파와 유가행파의 사상이 혼합된 형태로 티베트에 전파되어 총카파(Tsong-ka-pa, 宗喀巴: 주18 교학의 기초가 되었다.

중국에는 청목(靑目)이 주석한 『중론』이 번역된 이후 용수의 주19 및 그의 제자 제바(提婆)의 주20과 합하여 삼론(三論)이라 불려 삼론종이 성립되었다. 그 후 삼론종의 대성자 주21의 『중관론소(中觀論疏)』는 『중론』 연구의 주22이 되고 있다.

또한 천태종(天台宗)의 지의(智顗)는 앞에서 말한 『중론』「관사제품」제18게에 기초하여 ‘공(空) · 가(假) · 중(中)’의 삼제설(三諦說)을 세워 천태종의 근본교리로 삼았는데, 고구려의 승랑(僧朗) 등은 삼제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을 이 공관에 입각해서 보면 거짓(假)된 모습을 하고 있는 상대적인 것이며, 그 밑바닥의 진리의 세계에서 볼 때는 한결같은 공의 세계로서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대적인 가의 세계에서는 현상이 공함을 파악하고 공의 세계로 몰입한 뒤 다시 나올 때, 거기에는 중도의 세계, 깨달음의 세계가 전개된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즉, 모든 상대적인 현상을 공하게 비울 때 그곳에 주23의 세계가 전개된다는 수행론은 공사상을 토대로 하여 전개시킨 것이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 불교의 모든 종파는 공사상을 크게 존숭하고 연구하였다. 신라의 원효(元曉)주24에서 공이라는 진실을 모든 사람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래 내 몸에 갖추어져 있는 그 진실을 자각하는 자가 부처이기 때문에, 이 공사상에 입각하여 승려 · 속인 · 남자 · 여자 등의 모두가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누구든지 부처가 될 수 있다는 사상과 그 근본으로서 공이라고 표현될 수 있는 진실이 본래 어떠한 인간에게도, 심지어는 만물에까지 갖추어져 있다는 사고방식은 대승불교의 발전과 함께 후대에 이르러 실유불성(悉有佛性: 모든 존재는 부처가 될 수 있는 성품을 지님)이 되었다고 파악하였다.

참고문헌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중론(中論)』
『반야심경』(이기영 역주, 한국불교연구원, 1979)
『불교학개론』(김동화, 보련각, 1954)
주석
주1

지각이나 감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경험의 세계. 객체계(客體界)에 대립하는 세계이다.    우리말샘

주2

사물의 근원.    우리말샘

주3

우주 만물이 생기고 없어짐.    우리말샘

주4

모든 법(法)이 갖추고 있는, 변하지 않는 본성.    우리말샘

주5

자기의 존재를 잊음.    우리말샘

주6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아니하는 바른길.    우리말샘

주7

석가모니 입적 뒤 백 년부터 수백 년 사이에 원시 불교가 분열을 거듭하여 20여 개의 교단으로 갈라진 시대의 불교. 독자적인 교의(敎義)를 전개하여 뒤에 유식 사상(唯識思想)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은 소승 불교와 같다.    우리말샘

주8

우주 만유의 본체.    우리말샘

주9

주의나 사상을 앞장서서 주장함.    우리말샘

주10

‘나’라고 하는 것은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일 뿐, 참으로 ‘나’라고 할 만한 실체는 없음.    우리말샘

주11

모든 법인 만유(萬有)는 모두 인연이 모여 생기는 가짜 존재로서 실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나가르주나’의 한자식 이름.    우리말샘

주13

무소득 중도(無所得中道), 실상(實相)의 정관(正觀)을 투철하게 설파한 대승 불교의 근본 성전(聖典). 용수보살의 ‘중론송(中論頌)’ 27품 446게(偈)와 청목(靑目)의 주석을 구마라습이 한역(漢譯)하였다. 전 4권.    우리말샘

주14

세상에서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진리. 여러 가지 차별이 있는 현실 생활의 이치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5

제일의의 진리. 열반, 진여, 실상, 중도 따위의 진리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16

인도 대승 불교의 2대 학파의 하나. 파조(派祖)인 용수(龍樹)의 중관론을 근본으로 하여 공(空)을 교의(敎義)의 중심으로 한다. 중국 등지에 전하여져 삼론종의 바탕이 되었다.    우리말샘

주17

인도에서 성하였던 대승 불교의 한 파. 법상종이 이를 계승하였다.    우리말샘

주18

티베트의 라마교 황교의 창시자(1357~1419). 이전의 홍교를 개혁하여 엄격한 계율의 실행을 주장하는 새로운 교파를 창건하였다. 저서에 ≪보리도차제론(菩提道次第論)≫, ≪비밀도차제론(祕密道次第論)≫ 등 300여 권이 있다.    우리말샘

주19

삼론(三論)의 하나. 용수보살이 지은 책이다. 모든 것이 공(空)하다는 것을 열두 가지 면으로 나누어 자세히 해설하였다.    우리말샘

주20

삼론(三論)의 하나. 용수보살의 제자인 제바(提婆)가 지은 책이다. 외도(外道)의 좋지 못함을 말하고,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의 옳음을 설파하였다.    우리말샘

주21

중국 수나라의 승려(549~623). 공관(空觀) 불교의 권위자로 삼론종을 대성하였다. 저서에 ≪삼론현의≫, ≪대승현론(大乘玄論)≫, ≪중론소(中論疏)≫, ≪백론소(百論疏)≫, ≪법화의기(法華義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2

어떤 일을 판단하거나 행동하는 데에 본보기가 되는 규범이나 법도.    우리말샘

주23

번뇌의 얽매임에서 풀리고 미혹의 괴로움에서 벗어남. 본디 열반과 같이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이다. 유위(有爲) 해탈, 무위(無爲) 해탈, 성정(性淨) 해탈, 장진(障盡) 해탈 따위로 나누어진다.    우리말샘

주24

통일 신라 때에 원효가 ≪대승기신론≫을 주석한 책. 2권 1책.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