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시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최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최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76년 7대손 용신(容臣)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용신의 발문이 있다.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삭녕최씨종가에 소장되어 있다.

권수의 목록에 이어 권상은 시 117수, 기(記)·제문 각 1편, 권하는 부록으로 증별시(贈別詩)·별장(別狀)·차운시(次韻詩)·만장(輓章)·제문·행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전국의 여러 명승고적을 찾아 읊은 것이 많다. 오언시의 「은석사(銀石寺)」·「은산현연각(恩山縣蓮閣)」·「칠불사(七佛寺)」, 칠언시의 「풍패관(豊沛館)」·「상감로사(上甘露寺)」·「광한루(廣寒樓)」·「공주산성(公州山城)」·「압구정(狎鷗亭)」·「삼각산(三角山)」·「동대문(東大門)」은 운치 있는 표현으로 깊은 감회를 느끼게 한다.

칠언배율 중 「공산기(公山妓)」는 염체시(艶體詩)로 매우 낭만적인 기분을 나타내고 있고, 「방장산거(方丈山居)」·「유회(有懷)」·「한거만음(閒居謾吟)」 등에는 은둔생활의 고독 속에서 자락(自樂)하는 기분을 표현하려 하고 있음이 엿보인다. 그밖에 차운·화답·증별의 시도 많다.

기의 「비래암기행(飛來庵記行)」은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무학대사(無學大師)가 만났다는 비래암의 고사를 들어가며 그 일대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 글이다. 1771년(영조 47)에 쓴 것이라는 부주(附註)가 있다.

제문은 1772년 스승 김원행(金元行)의 죽음을 애도한 것으로 장문이다. 부록에는 김원행이 그에게 준 증별시가 있는데 ‘동국무쌍사남주제일인(東國無雙士南州第一人)’이라 칭찬하였다.

집필자
이명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