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가사 ()

고전시가
개념
가사체의 장가에 곡을 붙여 국악에서 전창되어온 12편의 속악. 궁중음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가사체의 장가에 곡을 붙여 국악에서 전창되어온 12편의 속악. 궁중음악.
개설

12편. 『청구영언』·『가곡원류』·『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고금가곡(古今歌曲)』·『남훈태평가(南薰太平歌)』에 실려 전하고 있다.

내용

작품 대부분이 지은이·연대 미상이나 이 중의 「어부사(漁父詞)」만은 이현보(李賢輔)가 개작한 것이다. 「수양산가(首陽山歌)」·「처사가(處士歌)」·「백구사(白鷗詞)」·「죽지사(竹枝詞)」·「춘면곡(春眠曲)」·「상사별곡(相思別曲)」·「어부사」·「행군악(行軍樂)」·「황계사(黃鷄詞)」·「권주가(勸酒歌)」·「양양가(襄陽歌)」·「매화타령(梅花打令)」을 말한다.

조선 중종 이후 선조 사이에 무르익어 향토적인 가락에 옮겨진 것으로 점잖고 유장한 맛이 있으며, 풍류적인 서정을 담고 있다. 이것은 정격(正格)과 변격(變格)의 두 형태로 구분되며, 십이잡가(十二雜歌)와 다른 점은 내용보다 창조(唱調)에 있다.

의의와 평가

십이가사의 특징은 ① 전통적인 가사보다 길이가 짧으며, ② 시조와 같이 음계는 대개 계면조(界面調)로 이루어지며 향제(鄕制)에 속하고, ③ 십이잡가와 같이 단조로운 가락의 반복이 많으며, ④ 가곡 남창(男唱)과 달리 세청을 쓰고,

⑤ 「상사별곡」·「처사가」·「양양가」만이 5박자 리듬이고 나머지는 모두 굿거리장단의 변형인 4분의 6박자의 도드리장단에 속한다는 데 있다. 「죽지사」·「행군악」·「황계사」·「어부사」 등은 분련체(分聯體)이면서 후렴이 붙은 것도 있어서 장르상 가사로 보기 어려운 점도 있다.

참고문헌

『국악개요(國樂槪要)』(장사훈, 정연사, 1961)
「십이가사연구초(十二歌詞硏究抄)」(윤재천, 『문경』 7, 중앙대학교, 195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