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명재집 ()

목차
한문학
문헌
고려시대 때의 학자, 이인로의 해동기로회에서 지은 시문을 엮어 편집한 시문집.
목차
정의
고려시대 때의 학자, 이인로의 해동기로회에서 지은 시문을 엮어 편집한 시문집.
내용

3권. 판본 미상이며 현전하지 않는다. 이 책은 작자가 해동기로회(海東耆老會)에 참가하여 거기서 지은 시문 100여 수를 엮어 모은 것이다. 책이 현전하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은 살필 수 없다. 그렇지만 『동문선』이나 『파한집』 등의 자료를 통하여 부분적인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쌍명재집』의 서문은 이인로가 썼고, 최당(崔讜)의 인족(姻族)인 홍사윤(洪思胤)이 흥왕사(興王寺)에서 판각하고 간행하였다. 쌍명이란 최당의 밝은 두 눈빛을 형용하여 장자발(張自拔)의 발의에 따라 붙여진 당호(堂號)라는 것이 『동문선』 권65에 수록된 이인로의 <쌍명재기 雙明齋記>에 전한다.

『쌍명재집』의 저술 동기는 다음과 같다. 최당이 기로회(耆老會)가 성립하게 된 사실을 시로써 서술하자, 아우 최선(崔詵)이 이어서 시를 지었다. 그런데 그 작품이 아려(雅麗)하여 후세에 전할만하였다. 그리고 이인로도 그곳에 참석하였으므로 그 시들을 모아서 『쌍명재집』을 편집한 것이다라고 『동문선』에 기록된 이인로의 서문에 전한다.

해동기로회는 당시에 죽림고회(竹林高會)와 함께 주목할 만한 시사활동(詩社活動)이였다. 기로회의 모임은 최당이 주인이 되어 그의 쌍명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세칭 백낙천(白樂天)의 낙중구로회(洛中九老會)를 모방한 듯하다. 참가인물은 최당·최선·장자발이 주요구성원이다. 그리고 고영(高瑩)·백광신(白光臣)·이준창(李俊昌)·현덕수(玄德秀)·이세장(李世長)·조자(趙者) 등이 구성원이다. 이인로는 기로회 회원 인 9명에 끼지 못했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동문선(東文選)』
『파한집(破閑集)』
「이인로(李仁老)의 저술과 소전시문작품(所傳詩文作品)」(서수생, 『어문학』 16, 한국어문학회, 1967)
「고려무신집권하의 문인지식층의 동향」(이우성, 『문리대학보』 8·10, 영남대학교, 1977)
「이인로(李仁老)의 현실관과 문학사상」(김진영, 『관악어문연구』 4, 서울대학교국어국문학과, 1979)
「이인로연구(李仁老硏究)」(남윤수, 『한문총서』 4, 한국한문학회, 1979)
집필자
고경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