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양 ()

목차
사회구조
개념
버스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안내를 직업으로 삼는 여자.
목차
정의
버스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안내를 직업으로 삼는 여자.
내용

안내의 범위는 넓지만 주로 버스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는 안내자를 말한다. 버스 안내양에는 시내버스·고속버스·관광버스 안내양이 있는데, 오늘날에는 시내버스 안내양과 고속버스 안내양은 찾아보기가 어렵다.

고속버스 안내양은 차량의 방송시설을 이용, 안전에 대한 승객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일을 주된 봉사내용으로 하며, 관광버스 안내양은 관광지 소개와 설명을 가장 큰 노릇으로 삼고 있다.

우리 나라 버스 안내양은 1920년대 후반, 서울 부영(府營)버스가 운행하면서 처음으로 여차장이라는 이름을 등장시켰는데, 1930년 당시 서울의 여 차장 수가 48명이었다는 기록도 있다.

당시 여 차장 복장은 치마에 허리띠를 맨 양복 형태의 제복을 입었으며 가죽 장화에 가죽 가방을 메었다고 한다. 안내양 자격을 보면, 과거 시내버스 안내양은 일정 수준의 학력이 필요하지 않았으나 고속버스와 관광버스 안내양의 경우에는 고졸 이상의 학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언어구사 능력, 사교술, 장시간 여행과 다양한 승객과의 대인관계에 필요한 인내력 등이 상당히 중시된다. 우리 나라에는 아직 자격증제도가 없으나 외국인 전용 관광버스에 종사하는 안내원의 경우는 통역안내원 자격이 있어야 하는데,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하는 1차와 2차 시험을 모두 통과해야 한다.

이들의 작업조건은 승객의 상태에 맞추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봄·가을 그리고 휴가철에는 관광객이 많으므로 출장이 잦으며, 한 번 출장을 떠나면 장기간 체류하거나 또는 수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원만한 대인관계 및 타지 적응력 등이 특히 중요하다.

오랜 시간 차를 타거나 걷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멀미를 한다거나 다리(하체)가 약한 사람은 적격자라고 할 수 없다.

1987년 말에는 안내양이 3만여 명에 달하였으나, 그 후 서울을 비롯한 도시지역에서는 승객 스스로가 요금을 내고 타는 자율버스가 등장하면서 거의 사라졌다.

참고문헌

『교통통계연보』(교통부, 1987)
집필자
곽해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