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기성 ()

목차
관련 정보
사자나한도(양기성 작)
사자나한도(양기성 작)
회화
인물
조선후기 「사자나한도」를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양기성(梁起星), 양기성(梁起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755년경
본관
남원(南原)
주요 관직
도화서 화원
목차
정의
조선후기 「사자나한도」를 그린 화가.
내용

본관은 남원(南原). 조선 후기에 활동한 도화서 화원으로, 부친은 만호를 지낸 양우표(梁宇標)이고, 시조 작가로 유명한 주의식(朱義植)의 외종손이다.

화원으로서 여러 궁중 행사의 도화 업무에 참여하였다. 1720년 숙종 국장 시의 혼전도감[肅宗魂殿都監], 1724년 경종의 혼전도감[景宗魂殿都監], 1730년 선의왕후의 혼전도감[宣懿王后魂殿都監], 1731년 인조 장릉 천릉도감(仁祖長陵遷陵都監), 1736년 사도세자의 책례도감[思悼世子冊禮都監]에서 일하였다. 어진 및 공신 초상 제작에도 임하여, 1733년 영조 어진 도사에 참여하였고, 1735년에는 세조 어진 모사에 수종 화사(隨從畵師)로 참여하였다. 1729년에는 분무녹훈도감(奮武錄勳都監)에서 공신 화상을 그렸다.

왕실에서 후원한 주요 화첩 제작에도 임하였는데, 명시문(名詩文)과 고사(故事)를 주제로 한 서화첩인 『만고기관첩(萬古奇觀帖)』과 『예원합진첩(藝苑合珍帖)』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한후방(韓後邦)·한후량(韓後良)·장득만(張得萬)·장계만(張繼萬)·진재해(秦再奚) 등 당대 최고급의 화원들과 함께 작업하였는데, 양기성이 가장 많은 분량을 맡아서 그렸다. 또한 1737년에는 영조의 명을 받고 효제(孝悌)·권학(勸學)과 관련된 고사를 주제로 한 세자 교육용의 교재인 『선가법첩(善可法帖)』의 그림을 전담하여 그렸다. 도화서 화원으로서 채색화와 수묵화를 두루 구사하였다.

참고문헌

『화사양가보록(畵寫兩家譜錄)』(필사본, 1916)
『한국의 초상화』(조선미, 열화당, 1977)
「중국 시문을 주제로 한 조선 후기 서화합벽첩 연구」(유미나,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의궤를 통해서 본 조선시대의 화원」(박정혜, 『미술사 연구』 9, 1995)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의궤종합정보(http://kyujanggak.snu.ac.kr/center/main/main.jsp)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유미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