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공실기 ()

양정공실기
양정공실기
유교
문헌
조선전기 무신 하경복의 사실 · 유문 · 가장 등을 수록하여 1927년에 간행한 실기.
정의
조선전기 무신 하경복의 사실 · 유문 · 가장 등을 수록하여 1927년에 간행한 실기.
편찬/발간 경위

1927년 하경복의 후손 하봉수(河鳳壽)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1981년 후손 하범용(河範鎔) 등이 이후에 발견된 사실 등을 증보하고 이익성(李翼成)의 번역을 합본하여 발간하였다. 이 신판본은 본편·부편·부록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두에 이훈호(李熏浩)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하계락(河啓洛)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책. 목활자본. 고려대학교 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등에 있다.

내용

본편은 사실(事實)·유문(遺文)·사은전(謝恩箋)·진서(陣書)·치보변사계(馳報邊事啓)·전지(傳旨)·어찰(御札)·정의기략(廷議記略)·관직제수(官職除授)·하사(下賜)·사제문(賜祭文)·사찬(史贊)·가장·묘지·묘갈명 등으로 되어 있다. 부편 3편은 참의공편(參議公篇)·강장공편(剛莊公篇)·경절공편(敬節公篇)이다. 부록에는 경현사봉안문(景賢祠奉安文)·상향문(常享文)·도천서당기(道川書堂記)·경현사도천재창건운(景賢祠道川齋創建韻) 등이 실려 있다.

본편의 「사실」은 저자의 행록이다. ‘유문’은 함경도도절제사로 있을 때 왕이 진주의 늙은 어머니를 위해 비단과 쌀을 내려준 데 대해 은혜를 피력한 「사사모견미전」과 임금의 포장(褒奬)에 감사하는 「사은전」이 있다. 「진서」는 정흠지(鄭欽之)·정초(鄭招)·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왕명을 받고 편찬한 병서로 행진·결진(結陣)·군령·응적(應敵)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 내용 가운데 용병술부분은 저자의 저술로 보인다.

「치보변사계」는 함길도도절제사로 있으면서 조정에 보고한 글이다. 「전지」는 1423년(세종 5)부터 1436년까지 저자의 치보에 임금이 내린 것이다. 그 어머니에게 비단과 쌀을 내린 일, 기첩(妓妾)을 면천해 준 일 등 19편이 있다. 「정의기략」은 조정에서 중신들과 정사를 논의한 것들 37편이 실려 있고, 「관직제수」에는 37건의 사실이 실려 있다. 「하사」에는 16건의 사실들이 실려 있다.

부편의 「참의공편」은 저자의 동생 하경리(河敬履)의 실기로, 사략·유문·사사모견미전(謝賜母絹米箋)·사위모특가상사전(謝慰母特加賞賜箋)이 실려 있다. 「강장공편」은 저자의 아들 하한(河漢)의 실기로, 사략·사실·묘비명이 실려 있다. 「경절공편」은 저자의 손자 하숙보(河叔溥)의 실기로, 사략·이력급포상수말(履歷及褒賞首末)·유문·치보변사계·헌의(獻議)·유서(諭書)·전지·기타·사찬·발(跋)이 실려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윤정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