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니

목차
관련 정보
가족
개념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나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동성의 손윗 형제를 가리키는 친족용어.
목차
정의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나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동성의 손윗 형제를 가리키는 친족용어.
내용

동기간주1 손아래 여자가 손위 여자를 부르거나, 어린 남자아이가 손위 남자형제를 호칭하는 말이나, 오늘날에는 동기간이 아닌 여자들이 자기 보다 나이가 조금 위인 여자를 높이거나 정답게 부를 때에도 이 말을 쓰고 있다. 심지어는 대학생들간에 한 모임의 남학생이 여학생을 부를 때에도 이 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여학생은 남학생을 ‘형’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는 하나의 주2로 바람직스러운 언어생활은 아니다. ‘언니’라는 말을 19세기 말까지의 우리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1895년 이준영(李準榮) · 정현(鄭玹) · 이기영(李琪榮) · 이명선(李明善) · 강진희(姜璡熙)가 우리말을 표제어로 하여 편찬한 최초의 국어사전(필사본)인 『국한회어(國漢會語)』에도 ‘언니’라는 낱말은 없다. 사전의 경우, 20세기에 들어와서 편찬된 우리 나라 최초의 활자본 국어사전인 문세영(文世榮)『조선어사전』(1938)한글학회『큰사전』(1957)에 비로소 ‘언니’라는 말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어사전』은 ‘형과 같음’의 풀이이고, 『큰사전』은 ‘형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이라는 설명이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보아, ‘언니’라는 말은 20세기 초에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형이나 오빠(시아주버니 · 손위 처남 · 매형 따위를 포함)를 일컫는 ‘ani’라는 말을 볼 수 있는데 이 ‘ani’라는 말이 ‘언니’의 형성에 말밑[語源]의 구실을 하였는가는 앞으로 살펴보아야 할 일이다. ‘언니’를 노래한 민요도 있다. “언니 언니 우리 언니/시집갈 때 얼골에는/붉은 앵두 세개 더니/언니 언니 우리 언니/집에 올 때 얼골에는/은구슬이 방울방울(경기도 개성)”이나, “우물까엔 나무형제/하눌에는 별이 형제/우리집엔 나와 언니/나무형젠 열매 맺고/별형제는 빛을 내니/우리 형제 뭐를 할꼬(평안남도 평양)” 따위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민요는 20세기에 들어와 불려진 것이라 보아야겠다.

참고문헌

『국한회어(國漢會語)』(이준영 외, 필사본, 1895)
『조선어사전』(문세영, 영창서관, 1938)
『조선민요연구』(고정옥, 수선사, 1949)
『큰사전』(한글학회, 을유문화사, 1957)
『한국가족연구』(최재석, 민중서관, 1966)
『어휘사연구』(류창돈, 이우출판사, 1975)
주석
주1

형제, 자매, 남매 사이. 우리말샘

주2

어떤 계층이나 부류의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자기네 구성원들끼리만 빈번하게 사용하는 말. 상인ㆍ학생ㆍ군인ㆍ노름꾼ㆍ부랑배 따위의 각종 집단에 따라 다른데, 의태어ㆍ의성어ㆍ전도어(顚倒語)ㆍ생략어ㆍ수식어 따위로 그 발생을 나눌 수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최승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