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상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중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안중섭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5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2책. 목활자본. 1905년 손자 석렬(錫烈)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유준철(柳浚喆)·정규삼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전라남도 장성의 변시연가(邊時淵家),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권1은 부(賦) 1편, 시 170여수, 권2는 서(書) 65편, 권3은 잡저 10편, 권4는 서(序) 14편, 기(記) 10편, 발(跋) 4편, 권5는 상량문 9편, 제문 7편, 축문 6편, 행장 4편, 권6은 책(策) 1편과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만선(晩蟬)」·「호창(糊窓)」 등 소재와 형태가 다양한 서정시가 많다.

서(書)에는 기정진(奇正鎭)에게 예(禮)와 학문에 대하여 질의한 8편의 「상노사기선생서(上蘆沙奇先生書)」를 비롯하여, 촌락의 방위를 위하여 무기의 비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유경선(柳景善)에게 보낸 「여유가휘(與柳可輝)」 등이 있다.

잡저에는 외세배격을 호소한 격문을 접하고 호응을 다짐한 「답전주모의소문(答全州募義所文)」, 기울어가는 국운을 암시적으로 묘사한 「반조신필(返照信筆)」, 고창지역의 향토사 연구에 참고자료가 되는 「서모양현향약안(敍牟陽縣鄕約案)」·「모양현학기(牟陽縣學記)」·「발향적(跋鄕籍)」, 교서(敎書)에 응하여 당시 각종 제도와 민생의 실상을 기록하여 올린 장편의 「삼정책(三政策)」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