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 어은동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 있는 한경 · 방제경 등 각종 청동기가 출토된 원삼국시대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원삼국시대
소재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내용 요약

'영천어은동유적'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 있는 한경 · 방제경 등 각종 청동기가 출토된 원삼국시대 유적이다. 금호강 남쪽 기슭의 언덕 비탈면에 자리하며, 원삼국시대의 널무덤으로 추정된다. 1918년 토사가 붕괴된 자리에서 다량의 청동기가 발견되면서 알려졌다. 이 유적은 '대구평리동유적', '경주조양동유적' 등 영남 일대에서 발견되는 유적들과 맥을 같이하는데, 중국, 일본 등과 원거리 무역을 한 금호강 일대 대외 교류의 중심지로서 주목된다.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 있는 한경 · 방제경 등 각종 청동기가 출토된 원삼국시대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영천어은동유적(永川漁隱洞遺蹟)'은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에서 서남쪽으로 약 8㎞ 되는 지점인 금호강 남쪽 기슭의 언덕 비탈면에 자리한다. 금호강에 면한 부분은 절벽을 이루지만, 영천시와 경주시를 잇는 교통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입지이다.

일제강점기인 1918년에 폭우로 지면이 붕괴되면서 유물이 드러났다고 전해진다. 조선총독부는 1922년에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와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 후지타 료사쿠〔藤田亮策〕 등을 파견하여 유적을 조사하게 하였다.

조사자들은 유물이 출토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유구도 찾을 목적으로 현지를 찾았으나, 출토 지점을 확인하지 못하여 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지금도 '문화유적분포지도'에 문화재 산포 지역으로만 표시되는 이유이다. 다만, 발견 당시를 기억하는 현지인들의 증언과 출토 유물이 놓였던 상태 등을 고려하면 유구는 나무로 짠 관을 안치한 주1으로 추정된다.

형태와 특징

출토 유물로는 청동기가 가장 많은데 주2 3점, 주3 12점, 동물형 허리띠 걸쇠[帶鉤] 2점, 소형 청동말, 사슴머리 장식과 청동단추 120여 점이 포함된다. 아울러 약간의 토기 조각과 석기 1점이 발견되었다. 다만, '영천어은동유적'의 당시 발견 경위를 고려할 때 공반유물(供伴遺物)들이 단일 유구의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금속기 유물들은 모두 지표 아래에서 밀집되어 발견되었으나, 토기 조각 등은 지표면에서 수집되었다. 일부 청동기에는 철 녹이 있어 철기와의 공반이 추정되었다. 채집된 유물들은 당초 여러 사람이 나누어 가졌다고 하며, 일부는 어린이들이 장난감으로 취급하였다고 알려진다. 이를 인근 주재소의 순경이 듣고 회수하여 보관해 두었으며, 일부는 황해도의 대방군 관련 유물과 섞인 채 전시되었다고 한다.

'영천어은동유적'에서 출토된 한경은 총 3점으로서 훼룡문경 1점과 이체자명대경 2점이다. 이체자명대경은 명문대에 ‘見日之光 天下大明’라는 글자가 주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일광경으로 불리는 거울 형식이다. 이체자명대경은 전한(前漢) 대 후기에 유행하던 것이며, 훼룡문경은 후한(後漢) 대 초기의 형식이다. 모두 삼한시대에 해당한다. 최신 한경 연구를 참고해 보면 서기전 1세기 후반대와 1세기 후엽 경이라는 역연대가 얻어진다.

'영천어은동유적'은 단일 유구에서 가장 많은 방제경이 출토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대형 방사선연호문경 1점과 소형 방제경 11점이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우메하라 스에지는 소형 방제경의 주요 문양이 고사리무늬인 점에 착안하여 평양에서 출토된 한경과의 관련성을 지적하였다.

이들 소형 방제경들은 거의 흡사한 거푸집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총 7점 확인된다. 그리고 이와 흡사한 방제경은 ' 대구평리동유적'과 '포항성곡리유적' 등과 일본 북부 규슈〔九州〕에서도 발견된다. 방제경의 생산지 문제가 대두되는 이유이다. 이들 방제경의 일부에는 주4이 부착된 것으로 보아 여러 점의 거울을 직물에 감싸서 부장하는 습속이 있었던 듯하다.

'영천어은동유적'에서는 동경 외에도 동물 형상의 허리띠 걸쇠 즉, 대구(帶鉤)도 2점이나 출토되었다. 하나는 호랑이 모양이고 다른 하나는 말 모양의 것이다. 이들 주5주6는 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경산시를 동서로 흐르는 금호강변에서 출토되는 사례가 많다. 그중에서도 '영천어은동유적'에서 출토된 마형대구는 지금까지 발견된 자료 중에서 가장 사실적인 형태의 것으로 시기적으로도 앞서는 것으로 인정된다.

이것과 함께 소형의 말 모양 청동기도 출토되었는데 이 역시 금호강 유역권에서 출토 사례가 많다. 최근에는 경산 임당AⅠ-34호, 대구 신서동 10호, 경산 대동 57-1번지, 하양 양지리 1호에서 유사한 사례의 청동기가 발견되었다. 이들 중에서는 주7의 매달리는 장식으로 사용된 사례도 있다.

'영천어은동유적'에서는 보고자가 한식토기(漢式土器)와 유사하다고 인식한 주8 조각과 주9로 추정되는 적갈색 토기 조각이 채집되었다. 후자는 금속기들과 같이 출토되었으나, 나머지는 인접한 주변에서 채집된 것이다. 한식토기로 인식된 토기들은 형태와 제도 기법으로 보건대 이들 금속기와는 다른 시기, 즉 후대의 유물일 가능성이 크다.

한편, 출토된 유물에는 석기 조각이 있는데 이는 의외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이 석기를 근거로 이 유구가 청동기에 더해 석기와 철기가 모두 동반되는 시대의 것이라는 인식을 주었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의 관학자(官學者)들은 이를 주10의 대표적인 유구라고 판단했으며 이는 일본 열도의 야요이시대와 통한다고 보았다.

'영천어은동유적'과 함께 이후 ' 월성입실리유적', '김해패총' 등이 연이어 발견되면서 금석병용기라는 시대와 대표 유물들의 인식이 마련되었다. 세계사적으로 금석병용기란 석기와 순동이 동반되는 청동기시대 초기를 일컫는 시대명이었으나, 일본 관학자들은 이를 한반도 철기시대의 전야를 설명하는 시대명으로 바꾸어 놓았다.

광복 후 금석병용기는 청동기시대와 초기 철기시대, 그리고 원삼국시대로 분화되었다. 한반도를 금석병용기라고 주장한 것은 석기시대에 머물러 있던 한반도가 청동기시대를 거치지 않은 채 철기와 청동기는 물론 여전히 석기를 사용하는 시대로 곧장 전환한다는 ’정체론’적인 시각이 만들어 낸 시대 구분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변동이 일본 열도와 동일하다는 ‘동역론’적인 설명 틀에 바탕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영천어은동유적' 등에서 비롯된 금석병용기론은 광복 후 주11 등으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가 설정되면서 시대 구분명으로서는 자리를 잃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호형 · 마형 띠고리와 사슴머리 · 작은말 조각품 및 동제 단추의 문양 등은 주12 등 소위 북방계 청동 유물과도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믿어져 우리나라 청동기 문화의 계통이 단순하지 않음을 보여 준다.

또한, 여기에서 나온 방제경의 동범경은 일본 사가현〔佐賀縣〕 및 오이타현〔大分縣〕의 야요이시대 유적에서도 발견된 것이다. 당시 일본으로의 직접적인 문화 전파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천어은동유적'이 영천 일대에서 대외 교류를 통해 성장한 세력으로 판단되는 근거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유리원판목록집Ⅳ』(국립중앙박물관, 2000)
『유리원판목록집Ⅲ』(국립중앙박물관, 1999)
『光復以前博物館資料目錄集』(국립중앙박물관, 1997)
『大正九年度古蹟調査報告』 第一冊 「金海貝塚發掘調査報告」(朝鮮總督府, 1924)
梅原末治, 『鏡鑑の硏究』(大岡山書店, 1923)
藤田亮策 외, 『大正十二年度古蹟調査報告』 第二冊 「朝鮮に於ける漢代の遺跡」(朝鮮總督府, 1922)

논문

정인성, 「한국고고학사(韓國考古學史)에서 원삼국시대(原三國時代)와 김해패총」(『先史와 古代』 46, 한국고대학회, 2015)
이기성, 「일제강점기 금석병용기에 대한 일고찰」(『한국상고사학보』 68, 한국상고사학회, 2010)
이재현, 「영남지역 출토 삼한시기 仿製鏡의 文樣과 의미」(『韓國考古學報』 53, 韓國考古學會, 2004)
이청규, 「嶺南地方 靑銅器文化의 전개」(『영남고고학보』 46, 영남고고학회, 1997)
주석
주1

구덩이를 파고 시체를 직접 넣거나 목관이나 목곽에 시체를 넣고 그 위에 흙을 쌓아 올린 무덤.    우리말샘

주2

중국 한(漢)나라 때의 거울.    우리말샘

주3

중국 한나라의 거울을 본떠 우리나라에서 만든 거울.    우리말샘

주4

기와를 빚을 때 기와 틀에 씌운 마포의 흔적.    우리말샘

주5

초기 철기 시대 말기에서 원삼국 시대 초기에 걸쳐 사용하던 청동제 허리띠 걸쇠. 쇠를 녹여 부어 만든 것으로, 북방 스키타이 계통의 특이한 색채를 띤 것이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면 어은동에서 출토되었다.    우리말샘

주6

말 모양으로 된, 허리띠를 죄는 쇠.    우리말샘

주7

동검의 자루 끝에 청동(靑銅)이나 돌로 만들어 붙인 장식.    우리말샘

주8

실내 가마에서 민무늬 토기보다 약간 높은 900℃ 정도의 고온으로 구워 기와처럼 회색을 띠는 약간 무른 토기.    우리말샘

주9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우리말샘

주10

동기(銅器)와 석기(石器)를 함께 쓰던 시대.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중간기로, 동기 시대를 이렇게 이르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11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진 비파 모양의 동검. 중국 랴오닝성ㆍ만주ㆍ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우리말샘

주12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의 중남부에 있는 고원 지역. 북쪽과 서쪽은 황허강(黃河江)이, 남쪽은 만리장성이 둘러싸고 있다. 예로부터 한족(漢族)과 북방 유목 민족의 쟁탈지였으며, 명나라 때에 몽고의 오르도스부(部)가 점거하였었다. 높이는 1,500미터.    우리말샘

집필자
정인성(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