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문 ()

목차
불교
문헌
1896년 승려 혜명이 불가에서 사용하는 예참문을 모아 서사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목차
정의
1896년 승려 혜명이 불가에서 사용하는 예참문을 모아 서사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내용

상권 33장, 하권 53장으로 모두 86장이다. 경상남도 고성군 안정사(安靜寺) 가섭암(迦葉庵)에서 서사하였다. 2권 1책. 필사본. 불가에서 사용하는 예참문(禮懺文)을 모은 것이다.

상권에는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을 비롯하여, 약사유리광여래불, 아미타불 등 여러 여래에 대한 예참문과, 화엄예참문(華嚴禮懺文), 법보예참문(法寶禮懺文)이 실려 있다. 하권에는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지장보살 등에 대한 예참문(禮懺文)과 조사예참문(祖師禮懺文) 등이 포함되어 있다. 조사예참문에는 인도의 마명(馬鳴)과 용수(龍樹) 등, 중국의 초조 달마(達摩)와 육조 혜능(慧能) 등 여러 조사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도의(道義), 의상(義相), 원효(元曉), 청진(淸眞), 진감(眞鑑), 범일(梵日), 철감(哲鑑), 무염(無染), 현욱(玄昱), 도헌(道憲), 혜철(慧徹), 홍척(洪陟), 보조(普照), 지공(指空), 나옹(懶翁), 무학(無學) 등의 역대 조사에 대해 예참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책머리에 나옹화상(懶翁和尙)의 발원문이 실려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박세민 편, 삼성암, 1993)
집필자
김형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