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오만 진신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신인이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한다는 내용의 문헌 설화.
이칭
이칭
진신설화(眞身說話)
작품/문학
편찬 연도
1281년
간행 연도
1512년(중간)
작가
이계복(간행자)
원작자
일연
내용 요약

「오대산 오만 진신 설화」는 신인이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한다는 내용의 문헌 설화이다. 『삼국유사』 권3 「대산 오만 진신」 조에 실려 있다. 보천·효명 두 태자가 오만 진신을 만나는 이야기는 『삼국유사』의 「대산오만진신」 조와 「명주 오대산 보질도 태자 전기」 조에도 중복되어 나타난다. 자장 법사가 문수보살의 진신을 보려고 띠집을 짓고 살던 이야기는 「대산 월정사 오류 성중」 조에도 나타난다.

목차
정의
신인이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한다는 내용의 문헌 설화.
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 권3 「대산 오만 진신(臺山五萬眞身)」 조에 실려 있는데, ① 문수보살(文殊菩薩)을 만난 자장(慈藏), ② 월정사(月精寺)의 유래, ③ 보천(寶川) · 효명(孝明) 두 왕자의 수도 생활, ④ 왕실의 집안싸움과 효명 왕자의 등극(登極), ⑤ 성덕왕(聖德王)과 주25, ⑥ 도를 얻은 보천의 행적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라 선덕왕 때인 636년 자장이 중국 주4의 문수보살의 주5을 보고자 당나라에 갔다. 태화지(太和池) 가에 문수보살의 석상이 있는 곳에 이르러 7일 동안 기도하니, 꿈에 부처가 나타나 자장에게 네 구절의 시를 주었다. 그러나 그 시가 주6로 되어 있어 자장은 그 뜻을 알 수가 없었다.

이튿날 한 승려가 붉은 비단에 금점(金點)이 있는 가사 한 벌과 부처의 주7 하나, 그리고 부처의 머리뼈 한 조각을 가지고 와서 자장에게 물었다. “어째서 시름에 잠겨 있습니까?” 자장이 “꿈에 부처님께 받은 시구(詩句)의 뜻을 풀지 못해 그렇습니다.”라고 대답하니, 그 승려는 시구의 뜻을 번역하여 자장에게 알려 주었다.

이어서 그 승려는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가사 등속을 자장에게 주면서 부탁하였다. “이것은 주9의 것이니 당신이 잘 보관하십시오.” 그리고 나서 그 승려는 “당신 본국의 동북방(東北方) 명주(溟州) 경계에 오대산(五臺山)이 있는데 1만의 문수보살이 늘 거주하고 계시니 가서 뵈십시오.”라고 말한 후 사라졌다.

자장이 귀국하려 하자, 태화지의 용이 나타나 전날 자장이 만난 승려가 문수보살의 현신(現身)이었음을 알려 주었다. 자장은 신라로 돌아와 명주 오대산 주1에 띠집[茅屋[^12]]을 짓고 살다가 드디어 문수보살을 만났다. 문수보살은 “칡덩굴이 있는 곳을 찾아가라.”라고 하였다. 자장은 이 말을 따라 마침내 지금의 정암사(淨巖寺) 터를 찾아냈다.

한편 자장이 신라로 돌아왔을 때, 왕자 보천과 효명은 명주에서 유람(遊覽)하다가 속세(俗世)를 벗어나기로 약속하고 아무도 모르게 도망하여 명주 오대산으로 들어갔다. 그러자 두 사람을 모시고 호위했던 사람들은 모두 서울로 돌아갔다. 두 왕자는 산속에 이르러 각자 암자를 짓고 머무르며 부지런히 업을 닦았다.

하루는 형제가 함께 다섯 봉우리에 올라 주27하는데, 동대(東臺)의 만월산에는 1만의 주16이 나타나고, 남대(南臺)의 기린산에는 1만의 지장보살(地藏菩薩)이 나타나고, 서대(西臺)의 장령산(長嶺山)에는 1만의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 나타나고, 북대(北臺)의 상왕산(象王山)에는 주17주18로 한 500의 주19이 나타나고, 중대(中臺)의 풍로산(風盧山)에는 1만의 문수보살이 나타났다.

두 형제는 이 5만 보살의 진신에 일일이 예했다. 날마다 이른 아침에 문수보살이 36종의 형상으로 진여원에 나타났으니, 두 왕자는 늘 골짜기의 물을 길어다가 차를 달여 공양(供養)하며 도를 닦았다.

의의 및 평가

이 이야기 중 특히 보천 · 효명 두 왕자가 5만 진신을 뵙는 이야기는 『삼국유사』의 「대산 오만 진신」 조뿐만 아니라 다음에 이어지는 「명주 오대산 보질도 태자 전기(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 조에도 중복되어 나타난다. 또 자장이 문수보살의 진신을 보려고 띠집을 짓고 살던 이야기는 다시 이어지는 「대산 월정사 오류 성중(臺山月精寺五類聖衆)」 조에도 나타난다. 그리고 문수보살이 36종의 형상으로 변하여 나타난 이야기는 「대산 오만 진신」 조에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총체적으로 볼 때, 이들 조항은 부처와 보살들의 주22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전형적인 불교 설화의 한 예라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니며, 만월대, 기린대, 장령대, 상삼대, 지공대 5개 대를 아우르는 오대산의 지명과 관음암 · 수정암 · 지장암 · 미륵암 · 사자암 5개 사찰(寺刹)에 대한 전설로서도 의의가 크다. 아울러 이 설화는 중국 산시성 오대산의 문수 신앙(信仰)이 통일 신라에 이르러 보천과 효명에 의해 문수보살을 중심으로 하는 오만 진신 신앙으로 변모(變貌)된 정황을 살피는 데에 유용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원전

일연, 『삼국유사(三國遺事)』 권3

논문

곽뢰, 「신라 오대산문수신앙 연구」(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염중섭, 「한국오대산 五萬眞身信仰의 특징과 北臺信仰의 변화」(『불교학연구』 62, 불교학연구회, 2020)

인터넷 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https://db.history.go.kr/)
주석
주1

지금의 월정사(月精寺) 터.

주3

임금의 자리에 오름. 우리말샘

주4

중국 산시성(山西省) 동북부 우타이현(五臺縣)에 있는 산. 불교 삼대 영장(靈場)의 하나로 다타사(大塔寺), 칭량사(淸涼寺), 진가오사(金閣寺)ㆍ베이산사(北山寺) 따위의 유명한 절이 있다. 높이는 3,058미터. ⇒규범 표기는 ‘우타이산’이다. 우리말샘

주5

부처의 진실한 몸. 부처의 법신(法身)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6

인도ㆍ유럽 어족 가운데 인도ㆍ이란 어파에 속한 인도ㆍ아리아어 계통으로 고대 인도의 표준 문장어. 전 인도의 고급 문장어로 오늘날까지 지속되는데, 불경이나 고대 인도 문학은 이것으로 기록되었다. 우리말샘

주7

절에서 쓰는 승려의 공양 그릇. 나무나 놋쇠 따위로 대접처럼 만들어 안팎에 칠을 한다. 우리말샘

주8

시의 구절. 우리말샘

주9

‘석가모니’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0

동쪽과 북쪽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1

통일 신라의 구주 가운데 지금의 강원도 강릉 지역에 둔 행정 구역. 경덕왕 16년(757)에 하서주에서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 우리말샘

주12

띠나 이엉 따위로 지붕을 인 초라한 집. 우리말샘

주13

돌아다니며 구경함. 우리말샘

주14

불가에서 일반 사회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임금이나 어떤 모임의 우두머리를 모시어 호위함.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16

아미타불의 왼편에서 교화를 돕는 보살. 사보살의 하나이다. 세상의 소리를 들어 알 수 있는 보살이므로 중생이 고통 가운데 열심히 이 이름을 외면 도움을 받게 된다. 우리말샘

주17

석가모니를 신성하게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8

첫째가는 자리나 우두머리가 되는 자리. 우리말샘

주19

아라한 가운데에서 나이가 많고 덕이 높은 사람. 우리말샘

주20

웃어른을 모시어 음식 이바지를 함. 우리말샘

주21

부처와 보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2

기이한 행적. 우리말샘

주23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중생의 기근(機根)에 맞는 모습으로 나타난 부처. 우리말샘

주24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말이나 인사를 하다. 우리말샘

주25

지금의 상원사(上院寺).

주26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말이나 인사를 하다. 우리말샘

주27

공경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인사하는 일.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