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빠 생각

현대음악
작품
1925년, 최순애(崔順愛, 1914~1998)가 발표한 동요시에 박태준(朴泰俊, 1900~1986)이 곡을 붙인 동요곡.
이칭
이칭
옵바 생각, 옵빠 생각
작품/현대음악
창작 연도
1925년
발표 연도
1926년
작사자
최순애(崔順愛)
작곡자
박태준(朴泰俊)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오빠 생각」은 1925년, 최순애가 발표한 동요시에 박태준이 곡을 붙인 동요곡이다. 1925년 11월, 『어린이』 잡지에 이 동요가 수록된 것을 읽은 대구 계성중학교 음악 교사인 박태준이 곡을 붙였다. 최순애가 1925년 11세 때, 수원에서 서울로 간 오빠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동요로 표현한 내용을 가사로 하고 있다.

정의
1925년, 최순애(崔順愛, 1914~1998)가 발표한 동요시에 박태준(朴泰俊, 1900~1986)이 곡을 붙인 동요곡.
구성 및 형식

「오빠 생각」은 내림마장조(Eb 주1, 8분음 6박자로 구성되어 있고 너무 빠르지 않게 부르는 노래이다. 전주 4마디를 비롯하여 선율 16마디로 된 2절 유절 주2으로 작곡되었다.

「옵바 생각」 가사

ᄯᅳᆷ북 ᄯᅳᆷ북 ᄯᅳᆷ북새 논에서 울고
ᄲᅥᆨ국 ᄲᅥᆨ국 ᄲᅥᆨ국새 숩에서 울제
우리 업바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 구두 사 가지고 오신다더니

기럭 기럭 기럭이 북에서 오고
귓들 귓들 귓드람이 슯히 울건만
서울 가신 옵바는 소식도 업고
나무닙만 우수수 ᄯᅥ러짐니다.
( 『어린이』, 1925년 11월호, 58쪽)

내용

「오빠 생각」 가사는 일제강점기 어린이의 의식이 얼마나 애처로운 것이었지를 짐작하게 한다. 애상조의 멜로디는 당시 어린이의 심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지금까지도 잊히지 않는 동요시로서 오늘날에도 애창되고 있는 동요곡이다. 아동 문학가 윤복진(尹福鎭, 1907~1991)이 대구에서 하기 보모 강습회(夏期保姆講習會)에 사용하기 위해 직접 주3로 제작하여 1929년 7월에 펴낸 『동요곡보집』에 「옵빠 생각」이란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특징

「오빠 생각」은 일제강점기 에스피(SP) 음반에 담겨 널리 알려졌다. 일축 조선 소리판에는 K.K 관현악단 반주로 이정숙의 노래로 녹음하였고, Regal C165B에는 콜럼비아관 현악단의 반주로 이정숙이 녹음하였다. Victor KJ1306A는 일본 빅타 관현악단 반주에 김순임이 녹음했는데, 녹음일은 1931년 11월 2일이다. Victor 49018A는 바이올린 안병소(安炳昭)의 반주(피아노, 실로폰 주4)로 김순임이 노래하였다. Okeh 20123B는 임동혁(지휘)이 편곡하고 백양 동요단이 오케 관현악단 반주로 녹음하였다.

의의 및 평가

「오빠 생각」은 초등학교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함께 부를 수 있는 동요곡으로 유명하다. 작사자인 최순애는 서울 간 오빠를 생각하면서 동요시를 썼다고 한다. 형제애를 느낄 수 있는 곡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복진 편, 『동요곡보집』 (대구보육회, 1929)
한용희, 『한국동요반세기』 (세광출판사, 1973)

논문

손태룡, 「윤복진 노랫말의 개사 양상 고찰」 (『음악문헌학』 14, 한국음악문헌학회, 2023)

인터넷 자료

『한국 유성기음반』(http://www.sparchive.co.kr/v2/)

기타 자료

『어린이』 11 (1925)
‘보모하기강습회’, 『동아일보』 (1926.7.4.)
‘보모강습개최’, 『동아일보』 (1929.6.25.)
‘오빠생각’, 『조선일보』 (1929.7.20.)
‘일축광고’, 『동아일보』 (1930.3.5.)
‘일축광고’, 『조선일보』 (1930.3.9, 1930.3.15.)
「리갈가사지」 (1934.6.30.)
「리갈매월신보」(1934.7.)
「빅타매월신보」(1935.2., 1939.5., 1939.6., 1939.9.)
「콜럼비아매월신보」(1935.8., 1935.10.)
「오케매월신보」(1942.6., 1943.2.)
‘어린이운동의 선구자들’, 『조선일보』 (1961.5.5.)
주석
주1

내림 ‘마’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장조. 우리말샘

주2

두 개 이상의 절을 지닌 가사에 대하여, 제1절에 붙인 가락을 제2절 이하의 가사에서도 쓰게 만든 작곡 형식. 우리말샘

주3

펜촉에 펜대를 끼워서 글씨를 쓰는 기구의 하나. 우리말샘

주4

피아노 또는 관현악 따위의 반주가 있는 독창곡에 독주적 성질을 가진 다른 악기를 곁들이는 연주법.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