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활자본. 1912년 아들 계익(啓翼)·계녕(啓寧)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제(宋秉濟)·정운오(鄭雲五)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석(李0x9F46), 조카 계환(啓環) 및 계익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99수, 권2는 서(書) 4편, 제문·만사 각 2편, 행장·서(序) 각 1편, 설(說) 2편, 잠(箴) 1편, 권3은 부록으로 서실기(書室記)·만사·제문·가장(家狀)·발(跋)·묘갈명·묘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서정성이 짙은 「춘야독작(春夜獨作)」·「벽오(碧梧)」·「치포(治圃)」·「종파초(種芭蕉)」 등을 비롯하여 교훈적인 성격을 띤 「계자시(戒子詩)」·「권아조진학(勸兒曹進學)」·「수신(修身)」 등이 있다.
이밖에도 잠재의식을 읊은 「희(喜)」·「수(愁)」, 시대적 모순을 주제로 한 「피동도입림구호(避東徒入林口呼)」·「동요심박탄불우시(東擾甚迫歎不遇時)」 등 다양한 제재의 시가 있다.
설 중 「척사설(斥邪說)」은 외세를 배척하고 전통적 가치의 수호를 주장한 글이다. 잠의 「십회잠(十悔箴)」은 효도·충군·학문·근면 등 인간생활에 요구되는 덕목들을 설명한 것이다.